아시아는 감봉, 서구는 감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악화된 경제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이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때문에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로이터가 4일 보도했다. 크레디리요네증권(CLSA) 싱가포르지점 직원들은 최근 해고자를 줄이기 위해 자발적으로 연봉을 최대 25% 삭감하는 내용에 동의했다. 서울지점도 전체 직원의 85%가 연봉 25% 삭감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포르지점의 한 서양인 직원은 “임금 삭감안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동료 사이에서 ‘비열한 인간’ 취급을 받을까 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싱가포르의 차타드반도체도 당분간 직원 연봉을 5~20% 삭감하기로 했고 일본의 반도체회사 엘피다도 최고경영자(CEO)의 연봉을 50% 삭감했다.

반면 서구 기업들은 정리해고라는 강수를 선택했다. 헤드헌터 스티븐 펭은 “투자자들에게 비용 절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더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고 설명했다. 골드먼삭스부터 GM까지 미국의 대표적 기업들은 연말까지 회사마다 수천 명을 정리해고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같은 차이는 문화적 배경 차이에서 비롯했다. 싱가포르경영대학(SMU)의 마이클 베놀리얼(조직행동학) 교수는 “서구에는 개인주의적 생존 경쟁이 치열한 반면 동양에서는 ‘짐은 나눠서 지는 것이 옳다’는 유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집단 책임의식 같은 것이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직원들을 보호하려는 아시아 기업들의 노력이 실업률 증가를 막아 수출이 어려워지는 시기에도 아시아 경제를 지탱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새 직원을 뽑아 다시 교육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경기 침체에서 더 빨리 회복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창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