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직무복귀] 개각은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돌아온 노무현 대통령은 곧 여권의 진용도 새롭게 정비할 듯하다.

개각은 다음달 20일께 단행하는 것으로 예고돼 있다. 이번 개각은 盧대통령의 차기관리 구상과 맞물려 있다. 盧대통령은 이미 '정동영.김근태.김혁규'트로이카의 동반 입각 방침을 세운 바 있다. 기존의 차기주자들에겐 행정경험을 쌓게 하고, 당에선 새로운 차기주자들이 클 수 있는 길을 열어주려는 것이다.

일단 차기그룹 중 김혁규 전 경남지사를 총리로 기용하겠다는 盧대통령의 방침은 분명해 보인다. 변수도 없진 않다. 그의 총리 지명은 여야 상생정치의 실험대다. 김혁규 전 지사는 최근 "盧대통령이 부산.경남에 선물을 줄 것"이라는 발언으로 한나라당의 반발을 사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盧대통령이 생각을 바꿀지는 미지수다.

김근태 전 원내대표는 통일부 장관에 기용될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문제는 정동영 당의장이다. 현재 여권에선 개각대상 부처를 6~7개 정도로 보고 있다. 통일부 외에 조각 당시에 장관이 임명된 보건복지부.정보통신부.문화관광부.법무부.국방부.여성부 등이다. 이 중 鄭의장이 갈 만한 자리로 정보통신부 외에 보건복지부가 새로 부상하고 있다. 노인폄하 발언 문제를 정면돌파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鄭의장 주변 인사들은 조금 더 조명을 받을 수 있는 자리를 원하는 듯하다. 鄭의장 주변에서 당 체제 정비를 명분으로 입각하지 말자는 의견이 여전히 나오고 있다.

차기주자 3명 몫을 제외한 나머지는 최근의 '이헌재.오명.안병영' 카드와 같은 실용주의적 인사 기조를 유지할 듯하다. 이런 맥락에서 입각이 거론되는 열린우리당 인사들은 정세균 전 정책위의장, 최근 언론문제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이부영 상임중앙위원 등이다. 국방부에는 사상 처음으로 민간인 출신의 기용도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단 법무부는 강금실 장관이 검찰과의 갈등을 이유로 교체될 것이란 견해와 참여정부 스타장관 중 한명이라는 점에서 유임될 것이란 관측이 팽팽하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