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정비” 합창은 운하사업 전주곡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낙동강을 개발해 풍부하고 깨끗한 물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21세기 영남권 공동 번영의 기본인 동시에 수도권에 대응하는 길이다.” 지난달 24일 열린 ‘낙동강 물길 살리기’ 정책포럼에서 영남대 지홍기 교수는 ‘낙동강 르네상스 구현 방안’이란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대구시 등 낙동강 인근 지방자체단체들이 낙동강 정비사업에 매달리고 있다.

강을 정비해 홍수 피해를 막고 깨끗한 물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운하사업을 하려는 것”이라는 일부 주장도 있다. 낙동강 정비사업 추진에는 대구·부산·울산시와 경북·경남도가 참여하고 있다.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의 낙동강 모습. [대구시 제공]

◆“낙동강을 살리자”=낙동강포럼은 올 2월부터 3차례 정책 세미나를 열었다. 낙동강 정비의 필요성을 알리는 행사였다. 낙동강포럼의 공동대표는 경북대·계명대·영남대 총장과 대구·구미 상공회의소 회장, 대구경북연구원장이다. 하지만 낙동강포럼 뒤에는 영남권 지자체가 있다. 5월에는 영남 5개 지역 단체장이 청와대와 국토해양부에 이를 건의했고, 해당 지자체의 실무자들은 지금까지 4차례 정책 협의회를 열기도 했다.

영남 지자체가 한 목소리를 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홍수 피해 방지를 든다. 대구시에 따르면 홍수로 하천 둑이 무너져 농토가 잠기고 인명이 숨지거나 다치는 재난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낙동강 홍수로 인한 피해액(1997∼2006년)은 1조1017억원. 복구비는 이의 1.7배인 1조8700억원에 이른다. 더는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주장이다.

만성적인 수량 부족도 근거로 들고 있다. 2011년이 되면 낙동강의 수량이 연간 1억2400만t 부족(전국 3억4000만t)할 것으로 전망한다. 연중 강수량 중 바다로 흘러가거나 증발하는 것을 제외하면 낙동강의 수자원 이용률은 23%로 한강의 30%보다 낮다. 대구시의 조영성 낙동강 물길정비 담당은 “낙동강 유역에 홍수와 물 부족 현상이 되풀이되는 것은 하천이 정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내년 초 발표할 초광역개발권 발전 구상에 낙동강 정비안이 포함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 등 영남권 지자체는 낙동강 하구둑∼안동댐 315㎞의 하천 바닥 준설과 둑 신설 및 보강, 생태공간 조성 등을 담은 낙동강 물길 정비안을 만들어 다음달 초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해양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운하사업으로 이어지나=일단 낙동강 정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운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최근 “(낙동강 정비사업이) 낙동강 운하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정부가) 한반도 대운하를 포기한 것이지 낙동강 운하를 안하겠다는 얘기는 하지 않았다”며 여운을 남겼다.

이런 가운데 낙동강700리자연운하만들기운동본부가 29일 대구에 사무실을 열고 낙동강 운하건설 운동을 펴기로 했다. 운동본부는 11, 12월 낙동강 유역 35개 지자체를 돌며 운하의 필요성을 설명한 뒤 정부에 운하 건설을 건의할 예정이다. 운동본부의 박성철 대표는 “운하는 영남 내륙지역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