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解法이 大選지름길" 국민회의 본격 쟁점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가 경제문제 쟁점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물론 내년 대선전략의 일환이다.
전기.가스요금등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방침에 대해 편법인상이라며 제동을 걸고나선데 이어 11일에는 기업의 명예퇴직 바람에 우려를 나타냈다.
정동영(鄭東泳)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명예퇴직.감원바람의 확산은 사회불안과 경제를 위축시키는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며 『우리당은 민간기업의 감원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 『감원이 불가피하다면 정부는 민간기업과 협의를 통해 명예퇴직자에 대한 직장알선과 전업교육등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고주장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입문제,국제수지 적자등 그동안 초점을 맞춰왔던 거시경제쪽에서 피부에 와닿는 미시경제 정책으로 관심영역을 넓혔다.
정부의 실정(失政)을 조목조목 짚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지기반 확산을 꾀하겠다는 의도다.
비상경제대책특위도 첫회의를 열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박상규(朴尙奎).김원길(金元吉).장성원(張誠源).장재식(張在植)의원등 당내 경제통 의원들이 주축이 됐다.
이 자리에서 김대중(金大中.얼굴)총재는 『최근 모 언론사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집권자에 대해 거는 국민의 기대중 70%가 경제문제』라며 『국민의 관심이 지대한 만큼 향후 경제에 대한 활동의 중점은 민생안정과 농촌부흥에 둬야한다 』고 힘주어말했다. 18일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비상 타개를 위한 대토론회를 대규모로 열 계획이다.그러나 자칫 대기업을 도외시한 서민.중소상공인만을 위한 정당으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한다. 金총재가 대기업관계자.무역인등 경제인들과의 간담회를 여는 것도 이같은 오해를 불식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 대통령선거 결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국민회의의한 관계자는 『올초까지만 해도 재집권이 어렵다고 여겨지던 클린턴이 당선된 것은 결국 경제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아니냐』며 『경제문제를 푸는 해법을 제시하는쪽이 대선의 승리를 안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