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올것이 왔다" 긴장-與野 司正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부가 공직자 비리에 대해 대대적인 사정(司正)작업에 돌입했다는 소식을 접한 정치권의 첫 반응은 『올것이 왔다』는 것이다.특히 여야 각 정당은 공식 입장표명을 감추는 가운데 문민정부출범초기의 사정에 이어 이번 「제2사정 바람」의 강도와 파장을물밑으로 감지하느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신한국당은 2일 고위당직자회의가 열렸으나 이 문제에 관해선 『아무 논의가 없었다』고 김철(金哲)대변인이 전했다.사안이 민감한데다 아직 정부의공식방침이 발표되지도 않은 상■ 에서 당이 거론하기엔 이르다는이유에서다.그러나 당직자들은 하나같이 『이번 사정이 이미 예고됐던 것』이라는 반응이다.당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그동안 변화와 개혁은 지속될 것이라고 누차 말해왔다』며 『이양호(李養鎬)전국방장관 비리 사건을 계기로 시점을 잡게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민정부 출범초 청와대사정비서관을 지낸 김무성(金武星.부산남을)의원은 『시간이 지나면서 초기 개혁바람 대신 공직사회에 과거 분위기가 다시 고개를 들고있다』며 『때문에 임기를 1년여 남겨놓고 개혁을 마무리한다는 의미도 배어있다』고 했다.
야당측은 『예상됐던 것』이라는 점에선 일치했지만 이번 사정의배경에 대해선 『권력누수』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국민회의 이해찬(李海瓚.서울관악갑)의원은 『한마디로 임기말 권력누수를 방지하려는 의도』라고 진단했다.
때문에 여야는 정치권에 미칠 파장에 대해서도 분석이 한창이다.특히 여권내 대선(大選)예비주자들은 공직자 사정의 파장이 정치권에도 밀려들 경우 자칫 대선구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잖게 긴장하고 있다.
여권의 한 소식통은 『이번 사정이 정치권을 겨냥하지 않은 만큼 새로운 것을 까발리진 않겠지만 사정과정에서 비리에 연루됐다는 사실이 드러나면 정치권이라고 해서 덮어두진 않을 것』이라고했다. 반면 국민회의 정동영(鄭東泳.전주덕진)대변인은 『이번 사정이 정치적 목적에 염두를 둬선 안된다』면서 『여당내 대선후보들의 정치자금 조성의혹등도 이번 기회에 철저히 파헤쳐져야 한다』고 공세의 자락을 깔았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