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자전거 고장…당황할수록 요령 있게 대처하기

중앙일보

입력


자전거 여행을 즐기다가 혹은 도로를 달리다가 자전거 타이어가 갑자기 펑크가 난다면? 여분의 튜브나 패치키트를 가지고 있다면 다행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펑크 난 채로 계속 주행을 한다면 타이어와 림이 망가져서 수리비가 더 커질 수 있고 안전상의 무리가 있다. 그렇다고 자전거를 무작정 끌고 갈 수도 없는 일. 이럴 때는 일단 타이어에 날카로운 못이나 스포크가 박혀 있지는 않은 지 확인하도록 하자. 이때 타이어 안쪽에 종이를 말아 채워 넣으면 짧은 시간 동안은 자전거 수리점까지 주행할 수 있다. 종이가 없다면 길거리에 있는 나뭇잎이나 풀을 끼어 구멍을 메우는 것도 한 방법이다.
주행 중 날카로운 돌이나 유리 때문에 타이어의 옆 부분이 찢어지는 경우도 있다. 계속 주행을 감행하면 튜브가 찢어진 부위로 튀어나오고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보강하기 전에는 주행을 일단 금하는 것이 좋다. 보강용으로 비닐을 벗기지 않은 담배상자가 있다면 훌륭한 보강재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과자 봉지, 천 원짜리 지폐를 사용해도 좋다. 즉 유연하면서도 질긴 종이류나 비닐류가 적당하다는 얘기다. 잘 들어가지 않는다면 바람을 약간 빼서 보강재를 넣고 다시 바람을 넣도록 하자. 이 때 타이어의 공기압을 평소보다 약간 낮춰 주는 것이 좋다.
자저건 체인이 빠져서 틈에 끼었을 때는 드라이버나 긴 막대를 이용해 틈 사이를 살짝 벌려주고 빼도록 하자. 만약 벌어지지 않는다면 막대를 체인의 낀 부분에 대고, 망치나 돌로 살살 쳐준다. 체인이 끊어진 경우에는 체인 툴이 있어야 하므로 조금 골치 아픈 상황이다. 그러나 작은 드라이버와 망치가 있다면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리벳을 끼워 넣어서 체인을 연결할 수 있다. 소지품 중에 드라이버와 망치를 대신할 만한 물품을 찾아 체인연결을 시도해보자. 짧아진 체인은 큰 체인링으로 변속이 잘 안될 수 있으니 기억해두었다가 없어진 만큼 복원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스포크가 부러졌을 때는 허브 쪽 스포크는 뽑아서 버리고 바깥쪽 스포크를 이웃하는 스포크에 단단히 묶어준다. 처음의 성능만큼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림이 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자전거가 낙하하거나 충돌해 림이 휘었을 경우 바퀴가 회전할 때마다 브레이크 패드에 닿게 된다. 이때는 핸들 바에 위치한 브레이크 케이블 조정나사를 풀어주면 된다. 너무 많이 휘게 된 경우는 임시적으로라도 림을 밟거나 망치로 쳐서 주행이 될 정도까지 펴줘야 한다.
브레이크 케이블이 앞 뒤 중에 한 쪽만 끊어지게 되면, 조심스럽게 타도록 하자. 두 쪽이 함께 끊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이 경우엔 자전거를 타지 않는 편이 낫다. 하지만 바로 수리가 필요한 다급한 상황이라면 브레이크 케이블을 뽑아서 앞 브레이크 케이블로 대체해 보자. 뒤 쪽 케이블 길이가 훨씬 길기 때문이다.

기어 케이블이 끊어질 경우에는 별다른 수리가 필요 없다. 천천히 수리점까지 이동해도 무리가 없다. 혹은 앞 쪽 케이블이 끊어진 경우에는 드라이버로 앞 드레일러 케이지를 분리하고 체인을 손으로 가장 큰 체인링에 걸쳐준 후에 주행하도록 하자. 이 때 뒤 쪽 기어는 사용해도 무방하다. 뒤 쪽 케이블이 끊어진 경우에는 막대기로 드레일러 케이지의 큼에 끼워 수동으로 체인이 중간 체인링에 걸치게 한다. 뒤 쪽을 막대기로 고정해놓고 앞쪽 기어를 사용한다면 막대기가 빠지면서 자연히 뒤 쪽 기어가 다시 가장 작은 체인링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앞 어까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장치선 워크홀릭 담당기자 charity19@joongang.co.kr

2008.10.17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