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공비 동해안 침투 관련 유엔司,對北 정전협정위반 항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잠수함을 이용한 북한 무장공비의 동해안 침투사건으로 주한(駐韓)유엔군사령부도 바빠지기 시작했다.
자체적으로 군사정전위 특별조사반을 구성,18일 강릉 현지실사를 하고 19일 오전에는 북한측과 연락장교회담을 갖는등 대응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또 미 정보국(DIA)정보망을 통해 평소보다 정보수집활동을 크게 강화하는등 사태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유엔사는 일단 19일의 연락장교회담에서 북한 잠수함과 무장공비 침투를 엄연한 정전협정 위반으로 규정하고 북한측에 엄중 항의했다.군정위 수석대표 차기문(車基文)소장 명의의 서한은 『정전협정을 악랄하게 위반한 무장침투행위를 강력히 항 의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유엔사의 향후 대응책은 별반 특별한 것이 없어 보인다. 이날 북한측에 제시한 항의서한 역시 지난 총선직전 북한의 비무장지대 도발(일명 北風)때와 마찬가지로 접수마저 거부됐다.
때문에 이번에도 단순한 「경고」에 그칠 전망이다.
그럼에도 유엔사측은 『좀더 증거를 수집하고 한국군의 대응태세및 생포공비 수사상황을 지켜본뒤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하고 있다.유엔사 한 관계자는 『가상(假想)해서 대응책을 마련할 수는 없다』면서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행한 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이 져야한다」는 강도높은 항의서한을 주목해 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정전위가 유명무실해졌고 서한접수마저 안되는 마당에 뾰족한 대응책이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정선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