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유러펀드 增資 허용-침체 증시 高金利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증시 침체가 계속되고 금리가 급등하자 정부가 부분적으로나마 손을 대고 나섰다.
외국인의 한국주식 투자용 기금규모를 늘려 국내 증시에 외국인투자자금이 더 들어올 수 있도록 했다.또 8,9월로 잡혀 있는국채발행 시기를 늦추고 대신 국고여유자금을 푸는등 시중에 자금을 더 공급키로 했다.
재정경제원은 23일 코리아유러펀드(KEF)에 10월중 8천만달러(6백50억원 상당) 증자를 허용한다고 발표했다.또 한국주식 투자용 주식형 컨트리펀드의 1인당 투자한도를 10월1일부터▶코리아펀드(KF)의 경우 5%에서 7%로 ▶KE F와 코리아아시아펀드(KAF)는 각각 4%에서 7%로 확대해 주기로 했다. KEF의 증자가 이뤄지면 오는 10~11월중 6백50억원 정도의 자금이 국내 증시에 유입되는 효과를 내게 된다.
또 컨트리펀드의 1인당 투자한도가 늘어나면 이들 기금을 통한외국인의 간접 주식투자 한도가 확대된다.
재경원은 이밖에도 외국인주식투자 한도를 현행 종목당 18%에서 20%로,1인당 한도를 4%에서 5%로 각각 확대하는 방안도 빠르면 10월중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한편 정부는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오는 28일과 9월11일로잡혀있던 8천3백50억원 규모의 국채 발행 시기를 10월 이후로 늦추기로 했다.
대신 기금이 써야 할 자금은 현재 한국은행에 무이자로 맡겨져있는 국고 여유자금(21일 현재 2조5천4백49억원)에서 빼내지원해 주기로 했다.
정부가 국채발행으로 시중 자금을 빨아들이지 않고 대신 추석을앞두고 국고여유자금을 풀 어줌으로써 시중 자금사정에 상당한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정부가 국채 발행 일정을 늦춘 것은 94년 경쟁입찰제도가 도입된 뒤 처음이다.
정부는 올해 6조4천억원 규모의 국채를 공모 발행하기로 했으며 아직 2조4천억원 규모가 남아 있는 상태다.
양재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