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金 동반 입각說, 청와대 "결정 안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2일 최근 열린우리당 인사들의 각종 입각 전망 보도와 관련, "전혀 결정된 바 없다"고 잘라 말했다. 尹대변인은 또 "특히 특정 부처를 거론하면서 당 인사들이 입각할 것처럼 추측 보도되는 것은 지금 국면에서 적절하지도 않고 정부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되는 만큼 주의 깊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尹대변인의 발언은 노무현 대통령의 불편한 심기가 반영됐다는 관계자의 전언이다. 盧대통령이 당 쪽 인사들과 만나 당정 개편의 구상을 가다듬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당 쪽 인사들의 개인적 이해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춤을 추고 있는 것에 청와대의 불만이 표출됐다.

盧대통령은 열린우리당 정동영(얼굴(左)) 의장과 김근태((右)) 원내대표를 입각시키려 하고 있다. 차기 총리로 경남지사를 지낸 김혁규 당선자 등을 검토 중이다. 조세형 당 고문, 한명숙 당선자도 총리 후보 중 한사람이다.

盧대통령이 유독 金대표와 鄭의장의 입각을 추진하는 이유는 청와대가 중심이 되는 국정 운영 체제의 확립을 위해서다. 청와대는 그것을 '당정 분리'로 표현한다. 예컨대 과반 여당이 국정을 좌지우지하지 않게 한다는 취지다. 정부가 당의 간섭을 받아선 안 된다는 얘기다. 당 역시 청와대가 간섭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한 청와대 핵심 인사는 "차기 주자의 입각 방침은 盧대통령의 당정 분리 구상이 구체화된 것"이라며 "내각은 당의 입김에서 벗어나 대통령이 직접 사람을 고르고, 당의 일은 당이 자율적으로 하는 게 당정 분리"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차기 주자들이 당에 그대로 있게 되면 대권 조기 경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며 이는 정부와 당은 물론 당사자 모두에게도 이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鄭의장이나 金대표 진영이라고 그것을 모를 리 없다. 하지만 양 진영 모두 입각을 썩 내켜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상대가 입각하고 자기는 당에 남기를 은근히 바라는 눈치다. 아무래도 당에 남는 것이 세력 구축에 이롭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거의 매일 입각과 관련한 다른 얘기들이 쏟아지고 있는 거다.

그러나 청와대는 차기 후보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무수석 출신의 유인태 당선자도 "청와대는 차기 후보군 누구에게도 이롭거나 불리하게 하지 않고 기회를 균등히 부여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한때 金대표가 입각하는 대신 鄭의장은 당에 당분간 남는다는 계획도 없던 얘기가 되어가고 있다.

시기는 다소 늦춰질 수 있으나 鄭의장도 입각 쪽으로 거의 기운 분위기다. 鄭의장은 "아직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입각도 하나의 선택이 될 수 있다"고만 밝히고 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관계자들은 "대통령의 뜻을 정면으로 거스르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鄭의장은 정보통신부 장관을 맡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金대표와 鄭의장이 입각하고 나면 당은 관리형 대표가 맡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차기 대권과 무관한 인물을 앉힌다는 복안이다. 야당과의 대화가 원활하고 당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인물이 적임자로 꼽힌다.

강민석.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