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공정성시비.윤리特委 가동 긴장 감도는 與野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5대 국회 첫 상임위 활동을 계기로 정전(停戰)상태에 들어갔던 여야관계에 또다시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국회는 25일 4.11총선 공정성시비특위와 윤리특위를 열지만 두 특위에 임하는 여야의 입장차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
여야는 당장 총선특위를 둘러싸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여야는 24일 국회 의원식당에서 총선특위 간사단회의를 열었다.위원장인 목요상(睦堯相.신한국)의원과 여야 간사인 박종웅(朴鍾雄.신한국).임채정(林采正.국민회의).함석재(咸錫宰.자민련)의원등 4명이 모였다.
전체회의를 앞두고 조사대상 선거구와 증인을 정하는등 활동계획서 작성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였다.그러나 회의는 아무런 결론없이 끝났다.여야는 조사지역 선정시기 문제부터 맞부닥쳤다.
야당은 무슨 일이 있어도 임시국회 회기내에 선정을 마무리해야한다는 입장을 보였다.반면 신한국당은 이번 임시국회에서 대상지역을 못박기보다는 특위활동이 정식으로 시작되는 8월10일 결정하자고 주장했다.
조사대상지역을 정하는 문제도 이날 논란이 됐다.야당은 부정선거 백서를 근거로 신한국당 당선지역 20여군데는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나 신한국당은 10여개쯤으로 하되 여야지역 동수로 해야한다고 맞섰다.
이같은 공방은 특위활동에 대한 여야 시각차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데서 비롯된다.신한국당은 마지못해 합의하긴 했지만 승리로규정한 총선결과를 문제삼는 것부터가 못마땅하다.특위활동 자체에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반면 야당은 내년 대선을 감안,선거의 공정성 문제를 특위활동을 통해 최대한 부각시킬 의도를 갖고있다.
여야의 해법찾기는 그만큼 진통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25일 열리는 윤리특위도 같은 맥락이다.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상대당 대표들을 공격한 여야의원 4명의 징계문제를 처리해야 하나 현재 양측은 조금도 양보할 기미가 없기 때문이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