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세계자원 보고서' 인터네트 자료분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올해 안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입이 확실시되는 한국의환경수준이 기존 28개 OECD 국가(벨기에와 룩셈부르크는 하나로 평가)가운데 최하위 수준인 26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사가 최근 세계자원연구소(WRI).유엔환경계획(UNEP)등이 공동으로 펴낸 「세계자원 96~97년 보고서」를 인터네트를 통해 입수해 비교.분석한 「환경친화도(親和度)평가」에서밝혀진 것이다.

<관계기사 17면> 중앙일보는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받아 하수처리율,1인당 아황산가스 발생량등 환경친화성 11개 지표를 선정,각각의 순위를 구한 뒤 지표별 순위를 합산.평균해 전체 순위를 냈으며 지표별 가중치는 부여하지 않았다.
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스위스.미국.일본등은 물론 최근 OECD에 가입한 멕시코.폴란드.체코.헝가리등에도 못미치면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한국보다 환경점수가 낮은 곳은 아일랜드(27위)와 캐나다(28위)뿐이었다.
한국은 농경지 ㏊당 비료사용량(25위).야생동식물보호구역 면적비율(20위).에너지증가율(22위).수자원이용률(27위).1인당어획량(22위)등에서 모두 20위 이하의 낮은 환경친화도를보였다. 반면 1인당 이산화탄소(8위).메탄가스(10위)발생량등에서는 환경친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이들 항목에 인구밀도.도시인구비율.평균수명등 구조적인 환경요인을 추가할 경우 환경수준이 형편없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28개국 가운데 환경친화도 1위는 관광산업이 발달한 스위스가 차지했고 오스트리아.스웨덴이 각각 2,3위로 뒤를 이었다.스위스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에서도 2위여서 「삶의 질」이 가장 높은 국가로 평가됐다.일본은 1인당 G DP가 3만3천8백57달러로 1위이나 환경친화도 순위에서는 19위에 머물렀다. 대기.수질등 오염도를 직접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화학비료 사용량.에너지소비 증가율.하수처리율과 1인당 유해가스 발생량등 국민들이 환경에 얼마나 노력을 쏟는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주요 지표.
환경친화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