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50층 아파트 짓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서울 한강변에 병풍처럼 늘어선 낡은 아파트들이 50층 이상 초고층으로 재건축될 전망이다. 서울시가 주택사업 부지의 기부채납(공공시설 용지로 무상 제공)을 강화하는 대신 층수 제한을 풀기로 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한강변에서 아파트를 짓는 사업자는 부지의 25% 이상을 공원 등 공공시설 용지로 무상으로 내놓고 층수는 제한 없이 짓도록 하는 건축심의 기준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층수 상한선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건축 기준에 적합하면 50층 이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 한강변에서 가장 높은 층은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옛 잠실시영) 36층이다. 노무현 정부는 재건축 최고 층수를 사실상 35층 이하로 규제했다.


시는 기부채납으로 인해 줄어드는 건축 면적을 용적률(사업부지 대비 지상 건축연면적 비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보전해 줄 방침이다. 사업 부지는 줄어도 면적은 줄지 않는 데다 초고층 건축이 가능해 사업성이 나빠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좁아진 땅에 같은 연면적을 지으면 층수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공시지가로만 많게는 수천억원대에 달하는 기부채납을 받으려면 확실한 인센티브가 필요한 만큼 층수 제한을 확 풀어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재건축 단지인 용산구 이촌동 렉스(460가구)와 성동구 성수동 A주택사업 단지(500여 가구 예정)가 시범적으로 기부채납을 통한 층수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렉스는 당초 부지의 3.6%를 기부채납하고 최고 36층으로 재건축할 계획이었으나 서울시의 건축심의에 따라 기부채납률을 25%로 높이고 층수를 최고 58~60층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부지의 10%를 도로용으로 내놓고 14~22층으로 지으려던 성수동 A주택사업 단지도 기부채납 면적을 20% 더 늘려 최고 48층으로 지을 예정이다.

층수 제한이 풀어지면 현재 한강변에서 추진 중인 10만 가구가량의 재건축·재개발 사업도 활기를 띨 수 있다. 10~15층의 낡은 아파트 99개 단지 5만7000여 가구가 재건축 대상이고 한남뉴타운 등 뉴타운 4곳에서 4만여 가구가 재개발될 예정이다.

청담동 삼익아파트 재건축조합 이강문 이사는 “용적률 규제가 풀리지 않더라도 초고층으로 재건축할 수 있다면 재건축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강변 초고층 주택이라는 점만으로도 집값 상승 기대감이 커 사업성이 나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강변 초고층 개발에 대한 우려도 있다. 세종대 변창흠 교수는 “초고층 건립에 따른 막대한 개발이익을 환수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며 “안정세를 보이는 주택시장에 한강발 집값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안장원·함종선 기자

[J-HOT]

▶기아차, 히딩크 같은 디자이너로 다시 떴다

▶"그 섬 때문에 골치, 일본에 주면 어떻겠소"

▶안재환 부친 "소위 일류 대학교 나왔는데 유서 글 엉망"

▶女탤런트 탄 보트 하마터면 NLL 넘어갈뻔

▶승객들 음란물 버젓이…대략난감 스튜어디스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