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核연료 설계 韓電이관 분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한국형표준원전(한국형원자로)의 개발 주체인 한국원자력연구소(소장 金聖年)가 원자로 계통설계 등 핵심업무를 한국전력으로 이관하려는 정부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원연(原硏)은 21일『원전 계통설계와 원전연료 설계사업을 한국전력에 조기 이관할 경우 자립단계인 원전 기술이 크게 후퇴할것』이라며『사업이관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공개적인 절차를 통해의견을 수렴할 것』을 요구했다.
원연이 이같이 반발하고 있는 것은▶그동안 한전이 기술자립보다경제성에 초점을 맞춰 외국기술에 의존해왔고▶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대북 경수로지원사업을 협의하면서 「한국형 표준원전」의 존재를 부인했기 때문이다.원자로 설계가 한전에 넘어가면대북사업에서 「한국형」이 훼손될 수도 있다는 것이 원연의 입장이다. 특히 원자력 사업분야가 이관될 경우 원자로 계통설계분야3백60명과 핵연료 설계분야 70여명등 모두 5백여명이 원연에서 한전으로 자리를 옮겨야 한다.대북경수로 지원사업에 참여할 연구인력의 분산은 한국형 표준원전 기술이 완성되지 않 은 상태에서 원전기술 후퇴는 물론 대북경수로 지원사업에 큰 장애가 될것이라는게 원연측의 얘기다.
더욱이 정부의 원연 사업분야 한전이관 강행은 지난 94년 235차 원자력위원회의『한국형 표준원전 1호기인 울진 3,4호기가 가동되는 오는 98년이후 점차 협의해 이관한다』는 결정을 뒤엎는 것이다.
원자력 행정체제가 과학기술처와 통상산업부로 2원화된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이로 인해 원자력 사업을 둘러싸고 통산부와 과기처,한국전력과 원연이 번번이 갈등을 빚고있다.
정부는 원연이 수행중인 원전계통설계와 핵연료설계 등 원전사업분야를 올해말까지 한전 자회사인 한전기술㈜과 원전연료㈜로 이관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차진용.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