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처구니없는 '거북선銃筒' 사기극 소동발단과 들통경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번 사건은 광주지검 순천지청이 해저발굴단의 민간탐사 용역업자인 홍무웅(洪武雄.53.수산업.구속)씨를 문화재보호구역 설정및 어장허가권과 관련한 변호사법 위반혐의로 조사하면서 불거지기시작했다.
洪씨는 해저유물이 나오면 부근 해역이 문화재관리보호구역으로 설정되고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도록 한 현행법을 악용,해군 충무공해전 유물발굴단장인 황동환(黃東煥.51.해사22)대령에게 뇌물을 주고 유물발굴해상인 한산도 앞바다의 해저청소 작업권을 따낸뒤 새조개를 독점적으로 채취해 내다팔다 적발됐다.
검찰은 사건을 조사하던중 『총통발굴이 조작극』이라는 뜻밖의 진술을 받아냈고 해군과 검찰은 黃대령을 지난 9일 전격 소환,이 조작극이 사실임을 확인했다.
黃대령은 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89년 8월1일 발족된 유물발굴단의 단장직을 맡은지 3년이 되도록 이렇다 할 발굴실적이 없어 발굴단의 해체가 우려되는데다 3년째인 장군진급심사의 압박감으로 이같은 조작극을 저질렀던 것으로 보인다.
해군에 따르면 黃대령은 당시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장이었던 조성도(趙成都.93년 사망,사망당시 62세)씨로부터 『정유재란때 때 거북선에 장착했던 총통이 있으니 바다에 총통을 빠뜨리고 인양하면 좋겠다』는 제의를 받았다고 진술했다는 것이 다.
黃대령은 『발굴단의 자문위원이자 골동품상이었던 신휴철(申休哲.64.수배중)씨를 통해 5백만원에 구입한 총통을 건네받았다』며 『당시 조작사건에 관여했지만 총통의 진품여부는 몰랐다』고 진술했다.
수배된 申씨의 집에서는 제조불명의 총포 13점과 함께 총포에글자 등을 새길 수 있는 각인기구 등이 발견됐다.
「별황자총통」이 사기극으로 드러남에 따라 黃대령이 발굴단장으로 재직하면서 발굴한 「지자총통」 「승자총통」및 「고려청자」등79종 6백여점의 진품여부도 의문시되고 있다.
김민석.구두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