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選앞둔 정치권 입김에 미국,금리조정 미적미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선거를 앞둔 정치시즌에 경제논리보다 정치적 입김이 우세해지는것은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어느정도 불가피한 모양이다.
미 경제가 예상과 달리 침체를 벗어나 호황국면으로 들어섰다는징후가 여기저기서 뵈는데도 금융당국이 금리인상을 주저하고 있기때문이다.
이에 대해 월가(街)에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오는11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백악관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라며꼬집고 있다.
금리를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성장률 등 최근의 주요 경제지표를 내세운다.이들은 올 2.4분기 성장률이 잠재성장률(3%정도)을 상당히 웃도는 3.5~4.0%에 이를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지난해 4.4분기(0.
5%)나 올 1.4분기(2.3%)와 비교하면 활황이라는 소리가 나올 만한 수치다.경기호조세를 반영,고용도 큰 폭으로 늘고있다.지난 5월중 새로 늘어난 취업자는 예상을 크게 웃도는 34만8천명에 달했다.지난해 하반기 고용증가는 한달 평균 16만명에 그쳤고,올들어 4월까지도 월평균 22만2천명이었다.
이런 추세로 볼 때 조만간 실업률은 5% 아래로 떨어지며,이미 가시화되고 있는 임금상승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란게 긴축론자들의 주장이다.여기에 자동차판매.주택신축 등에 관한 통계도 민간소비가 활발함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FRB가 지금 손쓰지 않으면 선거를 코앞에 둔 시점에서 금리인상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따라서 FRB가 내달,늦어도 8월에는 금리를 올릴 것이란게 이들의 전망이다. 그러나 백악관의 생각은 다르다.빌 클린턴 대통령은 지난주 『최근의 고용증가세가 인플레를 유발하지는 않는다』며 『금리는 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개인의견을 피력했다.선거에 미칠 부담을 고려,FRB가 금리인상을 하지 말 았으면 하는 바람을 강하게 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클린턴에 의해 3연임에 성공한 그린스펀의장이 이끄는 FRB 입장은 일단 백악관쪽에 가깝다.성장률이 개선되고 있으나 인플레 징후는 없다고 말한다.물가지표를 보면 올라가기는커녕 하락하고 있으며,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은 난센스란 얘기다.래리 린지 FRB이사는 『불과 몇달전만 해도 경기침체를 우려하던 사람들이 한두 분기 경기상황만 보고 과열 운운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반박했다.
심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