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 구호품' 긴급수송 차질

중앙일보

입력

북한은 26일 용천역 열차 폭발 사고 피해자 치료 및 복구 지원을 위한 우리 측 구호 물자의 육로 수송을 거부하고 배편 이용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부상자 치료를 위한 의약품과 긴급 구호물자 전달이 늦어지는 등 차질이 예상된다고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북한은 이날 오전 판문점 적십자 직통 전화로 육로 개방이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오는 29일 인천항에서 남포항으로 갈 예정인 정기 운항 선박 '트레이드 포춘'호 편으로 물자를 보내달라고 했다.

그러나 기상 악화로 선박의 출항이 늦어져 긴급 구호물자는 일러야 다음달 1일에나 현지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북한은 또 남측의 병원선과 의료진 파견 제의에 대해서도 거부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육로를 통해 사고 현장에 대한 직접적인 물자 수송을 받아들일 경우 체제에 가져올 파장 등을 우려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남북한은 북측 제안에 따라 27일 개성 자남산 여관에서 시설 복구와 이재민 지원 문제를 협의한다.

정부는 이 접촉에서 북측이 이재민 수용 시설과 학교.병원 등 공공시설의 응급 복구를 요구해 올 것으로 보고 건설교통부 중심으로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날 북한에 긴급 구호 세트 3000개, 컵라면 10만개, 생수 1만병, 담요 3000장, 운동복 3000벌, 긴급 의약품 72종 등 1차분 구호품 지원 계획을 통보했다.

민주노총 등 9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우리겨레 하나되기 운동본부'는 이날 용천역 피해 주민을 돕기 위해 '북녘 용천에 새희망' 운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또 시민.사회단체와 북한 구호 단체들은 27일 '용천돕기운동본부(가칭)'를 발족할 예정이다. 해외의 경우 중국.일본.유럽연합(EU) 등이 지원을 약속한 데 이어 미국.호주 정부도 인도적 지원 의사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국제적십자사위원회(IFRC) 등도 지난주 조사단을 급파했으며, 모금활동과 구호단 파견 등을 계획하고 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