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위원 문대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의 태권도 스타 문대성(32·동아대·사진) 교수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으로 선출됐다.

한국인으로서는 물론이고 아시아 출신으로도 처음이다. 문 위원은 21일 중국 베이징 올림픽 선수촌 내 기자회견장에서 발표된 선수위원 투표 결과 29명의 후보 중 1위를 차지했다. 투표에는 7216명의 선수가 참가했고, 문 위원은 이 중 과반수에 가까운 3220표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임기는 8년이다. 문 위원에 이어 러시아의 수영스타 알렉산드르 포포프(1903표)가 2위에 올랐고 3위는 독일의 펜싱선수 클라우디아 보켈(1836표), 4위는 쿠바의 배구스타 유밀카 루이스 루아체스(1571표)가 차지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상위 4명에게만 선수위원 자격이 주어진다.

당초 유력한 후보로 꼽혔던 중국의 육상영웅 류샹은 1386표로 8위에 그쳤고 호주의 수영스타 그랜트 해킷은 9위(1131표), 최근 은퇴한 벨기에의 테니스 스타 쥐스틴 에냉은 1502표(5위)로 탈락했다. 이로써 한국은 11개월 만에 IOC 위원 2명을 보유하게 됐다. 지난해 9월 박용성 전 IOC 위원이 자진 사퇴한 뒤 한국은 이건희 전 삼성 회장만이 IOC 위원 직을 외롭게 지켜 왔다.

이명박 대통령은 문 위원에게 축전을 보내 “문 선수의 당선은 한국 스포츠 외교의 쾌거이며 대한민국의저력을 세계 만방에 알린 역사적 사건”이라며 당선을 축하했다.

베이징=장치혁 기자

◇IOC 선수위원=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이 선수들(은퇴자도 포함)을 대상으로 위원을 선출하는 제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신설됐다. 총 12명의 선수위원 중 하계 종목 8명, 동계 종목 4명으로 구성된다. 임기는 8년이며 IOC의 선수분과위원회에 소속된다. 여름·겨울 올림픽 개최지 선정 투표권 등 일반 IOC 위원과 동일한 권한을 지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