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이후 정국 어떻게 되나] 달라진 선거문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7대 총선은 제도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변화 속에 치러졌다. 선거를 한달여 앞두고 선거법이 대폭 개정됐기 때문이다.

윤종빈 명지대 교수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 중 선거법 위반 행위가 16대 총선에 비해 대폭 줄고, 금품 및 향응 제공 관련 위반 건수가 4분의 1 정도에 그치는 등 엄격해진 선거법에 따라 선거문화가 달라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 새로 도입된 TV 대담.토론회가 도움이 됐다는 응답이 20대와 30대에선 21.0%, 18.9%였으나 40대와 50대 이상에선 오히려 27.1%, 27.3%로 높게 나타났다"며 "미디어 선거운동이 장년층에서도 운동장 유세를 대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자금 기부 및 모금 한도를 대폭 축소한 데 대해 尹교수는 "음성적인 자금 거래를 부추기고 선거운동을 지나치게 규제할 수 있는 만큼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구당 없이 선거사무소를 중심으로 총선이 치러지긴 했으나 향후 각종 선거에서 경선이 확대될 경우 음성적인 조직이 지구당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