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北투자 규모 제한 사실상 철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북한의 한반도평화 4자회담 수용을 유도하고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연착륙」을 위한 가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우선 대북(對北)경협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통일원은 27일 삼성전자.대우전자.태창 등 3개업체를 남북경협 사업자로 추가 승인했다.이들 3개 기업의 사업규모는 각각 5백만달러를 넘는 총1천9백20만달러로 정부가 5백만달러 이상의 단일사업 투자를 승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이 는 5백만달러 이하의 투자만 허용하던 기존 가이드 라인의 사실상 철폐를 의미한다.
삼성전자는 특히 북한 조선체신회사와 합작사업으로 7백만달러를투자해 나진.선봉 경제특구에 1만회선 규모의 통신센터를 건설,운영할 계획인데 정부가 사회간접자본 분야에 대한 남북경협을 승인한 것도 처음이다.
태창은 북한의 능라 888무역총회사와 합작사업으로 5백80만달러를 투자해 금강산 샘물을 개발.판매할 계획이다.대우전자도 6백40만달러를 투자,북한 조선삼천리총회사와 합영방식으로 남포공단안에 컬러TV.세탁기.전자레인지.카스테레오등■ 제품을 생산할 계획으로 있다.

<관계기사 3,27면> 이로써 남북경협 사업자승인을 받은 업체는 ㈜대우를 포함,모두 10개로 늘어났다.
현재 10여개 업체가 남북경제 협력사업자 승인신청서를 제출해두고 있는데 북한이 4자회담에 호응해올 경우 정부의 추가승인및사업분야 확대와 함께 쌀지원등의 추가조치도 예상된다.
김경웅(金京雄)통일원 대변인은 『이번 결정은 단계적으로 남북교류 및 협력사업을 증진시켜 나간다는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