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앞두고 북한 정전협정 파기행위 관련 與野긴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야는 4일 북한이 비무장지대의 지위를 부인하고 나서자 막바지 총선 정국에 초대형 변수가 돌출한 것으로 보고 바짝 긴장하고 있다.
국내 정치상황에 정통한 북한이 어떤 형식으로든 총선에 영향을미치려 하는 게 아닌가하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신한국당의 김철(金哲)선대위 대변인은 4일밤 『북한의 비무장지대 부인선언은 그동안 북한이 집요하게 현 휴전체제의 변경을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예상되던 일』이라고 논평했다.
어쨌거나 비무장지대의 긴장고조,안보위기론이 결코 선거에 나쁘지 않을 것이란 게 지금 단계에서의 신한국당의 판단이다.
북한의 의도에 대해서는 한국을 뛰어넘어 미국과 직접 대화를 갖기 위한 선제 조치이며,일면으로는 남북긴장을 조성해 내부 갈등을 해소하려는 조치란 게 신한국당의 상황인식이다.
국민회의는 착잡하다.장학로(張學魯)씨 부정축재사건 이후 야당으로 향하던 표의 흐름에 중대한 장애가 발생했다는 게 1차적 반응이다.국민회의 관계자들은 당장 87년 대선직전 대한항공기가폭파되면서 당시 노태우(盧泰愚)후보에게 표가 몰 린 악몽을 떠올리고 있다.
그러나 아태평화재단을 통해 상당한 대북 정보역량을 축적해놓고있는 국민회의 관계자들은 『북한이 무조건 대결 국면을 강화하기위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후속조치로 남북관계나 한반도 평화정착에 획기적 제안을 하고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해 주목된다. 자민련도 양당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후속 카드에 주목하고 있다.이동복(李東馥)선대위 대변인은 『미국을 협박해 한국을 제외한 북.미 직접 군사회담과 평화협정 체결을 강요하려는 술책』으로 분석했다.자민련은 그러나 김종필(金鍾泌)총재가 최근 『자민련만이 반공기조 아래 통일을 이룰 수 있는 정당』이라고 강조해온 점을 상기시키며 차제에 뚜렷한 색깔,풍부한 국정운영경험을 강조하면 손해볼 것은 없다고 보고 있다.
민주당은 『북한의 진의가 파악될 때까지는 현 시점에서 어떤 예단도 내려서는 안된다』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