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박 대만해협 통과 금지-정부,관계기관대책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중국.대만간의 긴장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는 12일 우리 선박의 대만해협 통과를 전면 중단시키는가 하면 관계부처 대책회의를갖기로 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와 업계는 아직은 해운업체의 수송비 부담이 조금 늘어난 것 외에 별 피해가 없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영향이 클 것으로 보고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등 부산한 움직임이다.
◇해운항만청 조치=12일 우리 선박의 대만해협 통과를 전면 금지했다.이에 따라 우리 선박들은 앞으로 반드시 대만 동쪽바다로 우회해야 하게 됐다.
항만청은 또 각 해운사와 선박들을 잇는 비상연락망을 가동시켰으며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해운사들에 선박 운항일정을 조정토록지시할 방침이다.
◇정부 움직임=정부는 13일 재정경제원에서 관계부처 실무대책회의를 갖고▶앞으로의 사태 발전방향▶우리나라와 대만간의 교역영향 및 업계 대응방안▶우리나라 선박회사들의 피해 및 수출에 미치는 영향 등을 협의하기로 했다.
최종찬(崔鐘璨) 재경원 경제정책국장은 『현재까지는 별 피해가없지만 긴장상태가 길어질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도 크기 때문에 종합적 상황판단 및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관계부처 회의를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업계 움직임=대만해협을 통과하는 해운사들은 아직은 노선을 대만동쪽 노선으로 바꾸지 않고 종전대로 대만해협을 통과하되 대만 연안에 바짝 붙어 운항하고 있다.
부산~홍콩 직항노선의 경우 대만 동쪽을 통과하면 13시간이나더 들어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하지만 앞으로는 노선 변경이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편 주요 종합상사들도 현지지사를 통해 매일 상황보고를 받고납기 지연 사태가 벌어질 것에 대비하고 있으나 아직은 특별한 조치없이 정상근무중이다.무역협회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도 현지상황을 종합한 결과 『일시적 위축은 있지만 무역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평가했다.
업계는 그러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우리의 대만 주력수출품목인 전자부품과 유화제품에는 타격이 있겠지만 대만과 수출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공업과 섬유부문은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판단하고있다.
경제1,2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