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작기행>"인간의 권능" 나일스 엘드리지 지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인간은 지구상 모든 종류의 생물들과 같은 생명의 흐름 속에태어났다.그러나 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달리 자의식을 가지게 됐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존에 도움이 되는 도구와 습속을 만들게 됐다.그들은 출생지역을 떠나 지구상의 모든 지역에 퍼져 살게 되었다.그리고 인간은 먹이를 꾸준히 조달하는 방법을 만들어내고 자연에서 격리된 생활공간을 가지기 시작했다.신을 만들고 그를 통해 모든 자연계를 지배하는 권능을 선포했다.
인간은 크게 번성했으나 머지않아 한계에 부닥쳤다.개체수가 1백억을 바라보게 되자 결국 자기네가 자연을 아주 벗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개체수를 무한정 늘려가며 먹이를 계속생산하고 자원을 계속 채취할 길을 찾을 수 없었 다.다른 생물들을 없애면서 인간만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비로소 자신의 위치를 깨우친 인간은 그때까지의 번성을 뒷받침해온 가장 큰 밑천,즉 지혜를 다시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그들은 자연 속에서 모든 존재가 가지는 한계를 인정하고 개체수 증가를 억제하기 시작했다.환경파괴를 삼가고 다른 생물종들을보호함으로써 남아있는 생태계를 보존했다.경제활동을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로 제한했다.그래서 인간은 살아남았고 지금까지 살아 왔다.썩 훌륭한 삶이었다.』 뉴욕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나일스 엘드리지는 『인간의 권능』(헨리홀트刊)끝에 미래어느 시점에서 볼 인간의 역사를 이렇게 희망적으로 적어놓았다.
그러나 스티븐 제이 굴드와 함께 진화의 비연속성을 주장해온 엘드리지가 『인간은 어디 서 왔는가』『인간은 무슨 짓을 하고 있는가』『인간에게 어떤 장래가 있는가』하는 물음들을 차례로 다룬이 책의 본문에서 내내 보여준 것은 휠씬 비관적인 관점이다.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생물학적 진화의 흐름을 타고 나타났다.20만년 전에 나타난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역시 빙하기의 기상변화속에서 진화돼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약 1만년 전부터 인간,즉 현생인류는 이 생물학적 진화의 흐름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농사를 짓기 시작한 것이다.수렵-채취 단계까지 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마찬가지로 각지의 지역생태계에 속해 있었다.지역생태계에 변화가 생기면 그 안에 인간은 변화에 적응하는 진화를 이루거나 아니면 죽어갔다.그런데 농사를 지으면서부터 스스로 지역생태계를 걸어나와 자기 힘으로 생을 영위하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이로부터 인간은 문화적 진화의 단계에 접어들었다.더욱 더 교묘한 연장을 만들어 쓰고 생존에 유리한 지식을 축적해 교환하게되면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기후조건과 지형조건의 범위는 계속 늘어났다.
이렇게 인간은 지역생태계에서 벗어난 최초의 생물이 됐다.다른모든 생물종이 이웃의 생물종들과 온갖 긴밀한 관계 속에 살아가는 것과 달리 인간은 인간 자신에게만 관심을 가지게 됐다.식량의 원천도 인간사회 속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생명의 위협도 인간 이외의 다른 존재로부터 느끼는 일이 별로 없게 됐다.
농업을 이룩한 인간에게는 지구 전체가 그 생태계가 됐다.이곳저곳에 떨어져 있던 지역생태 안에서 제한된 방법으로 섭취하던 자원에 비해 거의 무진장한 자원이 인간 앞에 펼쳐졌다.
그러나 이 광대한 자원에도 한계가 있었다.지역생태계의 벽을 1만년 전에 허문 인간의 코앞에 이제 지구생태계의 벽이 닥친 것이다.이 벽의 존재는 이미 맬서스가 『인구론』(1798)에서지적한 바 있다.맬서스의 위기의식을 인류가 벗어 날 수 있었던것은 산업혁명을 통한 생산력의 극대화 덕분이었다.그런데 인류의번영을 가속시킨 산업화가 그만큼 더 격렬한 충격 앞에 인간을 내몰고 있는 것이 지금의 상황이다.
엘드리지는 이 벽을 넘을 수도,피해 갈수도 없는 벽으로 본다.1만년간 앞만 보고 달려온 인간이 이제는 뒤를 돌아보고 주위를 둘러볼 때가 됐다는 것이다.인간은 문명의 성장을 통해 자연을 인간의 소유물로 보는 시각에 길들여져 왔다.그 러나 결국 인간은 자연에 속할 수밖에 없는 것, 지역 생태계에서 벗어나 얻은 자유와 오만이 지구생태계의 벽 앞에서는 고개 숙이지 않으면 안된다고 그는 잘라말한다.
이 벽 앞에서 인류는 안팎으로 갈등에 빠져 있다.안으로는 생활양식을 개조하는 과정에서의 사회정치적 문제들이 있고,밖으로는지구생태계에 최소한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경제활동을 축소시켜야 할 부담이 있다.결론은 인구가 더 이상 늘 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가능한 일일까.
그가 예시하는 해법도 고생물학자답다.여성해방을 통한 출산율의하락.문명을 가진 동물로서 인간의 특징인 가족제도가 생존본능과번식본능의 특이한 결합임을 지적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가 자연스럽게 출산율 하락으로 이어질 전망을 말한 다.
그 실효성은 그가 책속의 자문자답에서 거듭 말하는 것처럼 「두고 볼 일」이지만 인간사회의 내적 건강과 외적 건강을 연결하는 사고의 방향은 참으로 음미할 만하다.
김기협 사학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