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독도에 마을 건설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경북도가 15일 일본의 독도 침탈 행위에 맞서 독도의 영유권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2006년 8월 마련한 정주기반 조성 등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위한 ‘독도 수호 신구상’을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신구상’은 문화재 보호 위주의 소극적인 독도 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독도를 관할하는 지방 정부가 적극적으로 독도를 지키겠다는 방안이다.

◇독도에 다가구 마을=신구상의 핵심인 독도의 정주기반 조성 사업은 다가구 마을 조성(10가구)과 ▶현지 사무실 설치 ▶부유식 방파제 설치 등이다. 기존 독도 어업인대피소를 내년까지 5억원을 들여 리모델링하기로 했다. 현재 독도는 독도경비대와 등대가 있는 동도 정상과 어민 숙소가 있는 서도 기슭을 제외하면 건축물을 지을 땅이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동도에 150m 방파제를 설치하고 동·서도 사이 일부를 매립해 민간인이 상주할 수 있는 마을을 꾸민다는 계획이다.

독도 탐방과 교육도 확대한다. 우선 8∼10월 경북 지역 역사 교사와 학생·문인 등 250명이 독도를 탐방하도록 한다. 청소년들에게 독도에 대한 역사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울릉군 북면 천부리 일대 5000여㎡에 독도지킴이 ‘안용복 기념관’을 건립하고 ‘안용복 바다학교’도 세운다. 안용복 기념관은 내년부터 2011년까지 150억원을 들여 만들며, 청소년수련관·독도문화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안용복은 조선 숙종 때 일본으로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땅임을 다짐받았던 인물이다.

◇경남지사 “일본 억지 주장”=한편 지방자치단체 간 우호협력협정 체결을 위해 일본을 방문 중이던 김태호 경남도지사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항의하기 위해 일정을 취소하고 전격 귀국했다. 김 지사는 15일 오카야마(岡山) 현청에서 이시이 마사히로(石井正弘) 현지사와 우호협력을 다지기 위한 협정을 체결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행사 직전 “한·일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돼야 하는데 일본이 또다시 독도 영유권이 일본에 있다는 억지 주장을 펴면서 발목을 잡아 안타깝고 유감스럽다”는 뜻을 전한 뒤 이날 오후 귀국했다.

대구=송의호, 창원=김상진 기자

[J-Hot]

▶ 닌자 복장 日네티즌 "전쟁하자" 사이버 도발

▶ 최재성 의원 "日언론 플레이에 청와대 말렸다"

▶ 일본 벌벌 떨게했던 독도의 전설 '리앙쿠르 대왕'

▶ "워싱턴포스트도 독도 광고 달라더라"

▶ '흑심' 中 "댜오위다오, 日영토 아니란 말이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