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가이드라인 6.6% 제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진념(陳稔)노동부장관은 22일 올해 적정임금인상률을 평균 6.6%,범위율로는 5.1~8.1%를 임금교섭의 준거(가이드라인)로 제시했다.
陳장관은 이중 월평균 급여가 1백12만원 이상인 업체는 5.
1~6.6%,그 이하인 업체는 6.6~8.1%의 인상을 권고한다고 밝혔다.월평균급여 1백12만원은 지난해 10인이상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월평균임금(약1백23만원)에 서 초과 근로수당을 제외한 액수로 상여금을 포함한 금액이다.
이에대해 한국노총 이주완(李柱完)사무총장은 『정부 제시안은 소비자물가 상승률,GNP성장률은 물론 사용자단체가 주장하는 노동생산성 임금이론에 비추더라도 지나치게 낮은 수치』라며 『정부가 터무니없는 가이드라인을 내놓음으로써 임금협상의 노사 자율성을 침해하고 정부불신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올까 우려된다』고말했다. 반면 경총(회장 李東燦)측은 『현재 국내근로자 1인당GNP대 임금비율은 경쟁국인 대만.홍콩.싱가포르는 물론 일본.
미국보다도 높은 수준』이라며 『우리기업들의 평균 지불능력과 대내외 경영여건을 고려하더라도 7% 내외인상은 승복할수 없다』고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노총은 올해 12.2%,경총은 4.8%의 임금인상률을 요구및제시한바 있다.
陳장관은 산출근거에 대해 『비농업 실질GDP 성장률(8.0%)과 비농업 GDP디플레이터 상승률(4.1%)을 합한 수치에 비농업 취업자 증가율(3.1%)과 평균 근속연수 증가,고용구조변화,특별급여 증가등으로 인한 임금인상 효과분 2 .4%를 제외한 결과 6.6% 인상률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신동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