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비료 국제가격 상승에 대북지원 7000억 더 들 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통일부는 최근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내년도 남북협력기금 운영 계획안에 대북 지원용 쌀 40만t과 비료 30만t을 위해 9400억원을 책정했다고 9일 밝혔다. 통일부는 9400억원의 내역과 관련해 쌀 지원 6500억원, 비료 지원 2900억원을 각각 산정했다.

이 같은 액수는 올해 책정된 쌀·비료 지원액 3485억원(쌀 1974억원, 비료 1511억원)의 2.7배에 달한다. 쌀·비료 지원액이 크게 늘어난 것은 국제 곡물가와 원자재 가격의 급등 때문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지난해 초 쌀의 국제 가격은 t당 400달러 정도였으나 지난달 현재 t당 1260달러로 3배나 폭등했고, 화학비료의 가격도 지난해 초의 t당 40만원 정도에서 현재 70만원대로 올랐다”며 “급등한 가격에 맞추다 보니 쌀과 비료의 지원 액수도 대폭 늘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정부는 쌀 40만t, 비료 30만t을 북한에 지원하며 2424억원을 썼다. 그러나 내년에 동일한 양을 북한에 지원할 경우 4배 가까이 돈을 더 들여야 하는 셈이다. 통일부는 또 이번 기금안에서 지금까지 차관 형태로 북한에 지원했던 쌀 지원 형식을 바꿔 무상 지원으로 전환키로 했다.

이는 무상 형태의 지원이 순수한 인도적 지원이라는 취지에 맞고 북한에 분배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데 더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통일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통일부는 이와 함께 국제기구와 국내 민간단체를 통한 지원 등 간접지원 비용으로 기금 930억원을 책정하는 등 내년도 기금의 사업비를 올해보다 6000억원가량 늘어난 1조7297억원으로 정했다.

◇북한 비핵화 항목 신설=통일부는 내년도 기금에 ‘북한 비핵화’ 항목을 신설해 2747억원을 책정했다. 이 비용은 북핵 폐기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정부가 분담할 대북 지원용 예산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현재 6자회담 참가국들이 북핵 진전에 맞춰 중유 등을 제공하고 있다”며 “비핵화 항목은 중유 제공처럼 북핵 폐기가 약속대로 이행될 경우 정부가 지불할 비용을 염두에 두고 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