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항도 국제선 취항 급증-부산.광주이어 대구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국제선의 지방공항 취항이 늘면서 해외여행도 지방화 시대를 맞고 있다.
지방공항의 국제노선은 일본 일변도에서 벗어나 지난해부터 괌.
사이판.방콕등으로 다양화하고 있다.지난해 신설된 지방공항의 국제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각 2개 노선이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6월부터 교통편이 취약한 광주에서 출발해 서울을 경유한 뒤 방콕을 거쳐 싱가포르까지 가는 항공노선을 신설했다.대한항공은 또 지난해 7월부터 부산에서 괌까지 운항하는노선도 취항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4월 새로 취항한 부산~오사카 노선을 7월 광주까지 연결시켰으며 10월에는 부산~사이판 노선을 새로개설했다.
올해에는 지방공항들의 국제 항공노선 취항이 대구공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우선 대한항공이 9일부터 대구~부산~오사카 노선에주 2회 운항하며 부산~방콕,대구~칭다오(중국)등 2개 국제노선도 올해 안에 취항할 예정이다.
아시아나도 4월부터 광주~사이판 노선에 취항하는 한편 제주~방콕,대구~후쿠오카 노선에 신규 취항을 추진중이다.이같은 지방공항의 국제노선 신설은 김포공항의 항공기 이.착륙 횟수가 피크타임엔 시간당 45편에 달하는 포화상태를 보임에 따라 보유 항공기의 효율적 가동을 위한 것이다.
게다가 일본인 여행자들이 상대적으로 항공료가 싼 한국 항공기를 많이 이용하는 것도 국내 항공사의 지방공항 국제노선 개설을더욱 부추기고 있다.대한항공이 취항을 추진하고 있는 부산~방콕과 아시아나의 제주~방콕 노선은 일본인 승객을 겨냥한 것이다.
건설교통부의 신동춘 국제항공과장은 『김포공항의 이.착륙 능력이 한계를 보임에 따라 지방공항의 국제노선 개설이 당분간 더욱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