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敎 "교회協" 중심 연합운동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진보와 보수의 노선 차이,사회구원과 개인구원간 목회 주안점의차이,기타 여러 이유로 교단간 서먹한 골을 파온 개신교계가 새로운 사회상황에 맞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교회협.KNCC)를 중심으로 일치와 연대의 연합운동을 본격화하고 있 다.
교회협은 최근 그동안 교회협의 가입교단이면서도 교회협의 「개혁」을 요구하며 참여활동을 거부해온 예장통합과 12개 비가맹 교단을 초청,「교회의 연합과 일치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이결과 예장통합은 조건부 복귀를 결정했고 참석한 5개 비가맹 교단중 기독교대한성결교회(소속교회1천3백개)는 가입을 긍정적으로검토하기로 했다.또 예장대신.그리스도의 교회 등은 교회연합운동에 지지를 표하며 우선 옵서버 형식으로 교회협에 참여하기로 했다. 교회협 김동완(金東完)총무는 18일 신년계획을 밝히는 자리에서 이와 함께 『기독교한국침례회(소속교회1천9백개)도 가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순복음교회연합체인 기독교대한하나님의 성회(기하성)도 가입키로 거의 결정됐다』고 밝혔다.金 총무는 또 한국에서의 교세는 미미하나 가톨릭.개신교와 함께 세계 3대그리스도교 종단인 정교회 한국「지회」도 가입의 뜻을 보내왔다고밝혔다. 위에 열거된 교단들이 교회협에 합류하면 교회협은 한국개신교도의 85%이상을 포용하게돼 보수.진보교단을 함께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한국교회의 대표기구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영락.새문안.소망.연동교회를 비롯한 5천여 교회가 소속된 예장통합은 복귀에 앞서 교회협 헌장에▶개인.민족.세계의 복음화▶사회복지사업 중시 등의 교회협 존립 취지를 보강해 줄 것과 교회협 운영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바꿀 것을 요구했고 ,교회협은 이를 모두 수용하기로 했다.
이중 집단지도체제는 현 1인 의장,1인 총무로 운영되는 방식을 교회협 가맹교단 모두가 참여하는 공동의장단을 구성하고 실무편의상 상임의장 및 총무를 두는 것이 골자다.
이에 따라 교회협은 오는 25일 헌장개정 실행위원회를 열고 내달 15일 개헌안 간담회를 연 다음 내달 26일로 예정된 제45차 총회 이전에 헌장 개정을 확정지을 계획이다.
영락교회를 대표로 한 보수교단 성격의 예장통합과 개신교계 진보단체의 상징인 현 교회협의 이같은 합의는 앞으로 교회협의 사업방향이 크게 바뀌는 것을 뜻한다.예를 들어 지난 20년간 교회협의 중심사업이었던 인권선교의 경우 이제는 시국 상황에 따라접근하지 않고 시민 전계층의 인권문제로 시각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신도수 1백50만명을 자랑하는 기하성(순복음교회)이 가세하면 교회협은 조직강화.재원 충당,그리고 해외 교회와의 연대등에 상당한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교회협은 지난해 12월 기하성에 가입을 요청했고 기하성은 이를 받아들여 오는 5월 총회결의를 통해 정식 가맹할 예정이다.
이번에 교회협에 복귀하는 예장통합은 한때 순복음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했다가 94년 취소한 바 있어 예정대로 두 교단이 교회협에 합류해 한 목소리를 내게되면 그 자체가 화해의 한 상징이다.
이헌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