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도소 이전 숙원 풀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법무부 교정본부가 이전을 추진하는 달성군 화원읍내의 대구교도소(검은 실선 안). [달성군 제공]

지난 19일 법무부 교정본부의 고위 관계자와 실무자 등이 대구를 찾았다. 대구교도소 이전을 요구하는 달성군 화원읍과 교도소 유치를 희망한 달성군 하빈면 주민의 의견을 듣고 후보지 등을 조사하기 위해서였다.

이들은 김범일 대구시장도 방문, 의견을 들었다. 김 시장은 이 자리서 “대구교도소 이전은 화원읍 주민의 10년 숙원”이라며 “교도소 이전이 조기 실현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구교도소 이전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교정본부가 국비 예산을 투입해 교도소를 이전·신축키로 방침을 정한 때문이다.

교정본부 오신규 사무관은 “국비를 투입해 대구교도소를 이전·신축키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기획재정부가 사업을 인정해야 국비 투입이 가능, 기획재정부와 협의해야 한다”며 남은 과제를 설명했다.

교정본부는 올해 기획재정부로부터 사업 인정을 받아 내년 중 이전 대상 부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어 대구시가 이 부지를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하고 2010년부터 토지 매입과 기본 설계에 들어가면 2~3년 뒤 새 교도소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추정 사업비는 1400억원. 교정본부는 하빈면 일대 부지 33만㎡를 물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소 이전 추진은 하빈면 주민의 유치 운동과 화원읍 주민의 이전 요구가 맞물려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하빈면 번영회는 19세 이상 전체 주민 3152명의 71.6%인 2257명의 서명을 받은 건의서를 지난 5월 대구시를 거쳐 법무부에 전달했다.

주민들은 건의서에서 “하빈면의 68%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돼 있는 등 달성군내 다른 읍·면에 비해 크게 낙후돼 있다”며 “자족적인 정주 여건 조성이 시급한 가운데 현실적인 발전 대안을 찾다 보니 교도소 유치를 건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하빈면 이병호(60) 번영회장은 “하빈은 대구의 오지 중 오지”라며 “교도소라도 와야 사통팔달 도로가 뚫리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그는 “신축 포항교도소 등을 보면 교도소는 이제 더이상 혐오시설이 아니다”고 유치 배경을 설명했다.

반대로 화원읍 주민은 1971년 6월 중구 삼덕동에서 이전해 온 대구교도소(천내리 472번지, 부지 11만276㎡)의 타지 이전을 10여년 전부터 요구해 왔다.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판단해서다.

화원은 교도소가 이전할 당시만 해도 농촌이었으나 37년이 흐른 지금은 인구 5만8000여 명이 거주하는 도시 한복판이 됐다. 또 인근 주민은 15층까지 건축 가능한 일반주거지역에 살면서도 3층 단독주택 등만 지어야 하는 피해를 보고 있다. 화원에는 초등교 4개, 중학교 3개, 고교 1개가 있어 교육상 문제점도 수시로 제기되고 있다.

교도소 인근 천내3리 이장 제갈청룡(54)씨는 “대구교도소 자리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나 상업시설 등이 들어서면 화원이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