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올림피아드 시험 공부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한국물리올림피아드 지원자가 갈수록 크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06년 2900여 명이었던 응시자가 지난해 4087명으로 41%나 증가했다. 수상 인원도 점수가 아닌 참가 총인원 대비 비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응시생에 비례해 수상자도 많아지고 있다. 올해는 최우수상도 부활될 예정이다.

중등부는 학년 구분 없이
1·2교시로 나눠 60문항 치러
기본개념 충실히 하면
충분히 수상도 가능하다


과학고 가산점 등 혜택
  한국물리올림피아드는 중등부와 고 1, 2, 3부로 나눠 한다. 중등부의 경우 수상실적이 특목고 입시와 관련 있다. 특히 과학고의 경우 특차와 가산점 혜택이 주어진다. 경기과학고는 물리에서 6명이, 부산 장영실과학고는 은상 이상이 특차 조건으로 주어진다. 서울 한성과학고는 3∼0.5점, 광주과학고는 5∼3점, 장영실과학고는 5∼2점의 가산점을 준다.
 
역학이 가장 어려워
  중등부는 학년 구분 없이, 1·2교시로 나눠 치른다. 시험 시간은 총 5시간으로 돼 있으나, 실제 문제풀이시간은 1교시 90분, 2교시 90분이다. 문항 수는 5지선다형 객관식 60문항으로 구성돼 있다. 30문항씩 나눠 출제된다. 1교시는 역학 부분이, 2교시는 전자기학과 파동부분이 주로 출제된다. 틀려도 감점은 없고 문항별 배점도 같다.
  출제 영역은 크게 역학·전자기학·빛과 파동·현대 물리로 나눌 수 있다. 난이도로 보면 역학이 가장 어렵고, 다음이 전자기학 순인다. 실제 학생들은 나중에 배우는 전자기학 부분을 어렵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빛과 파동·현대 물리는 기본 개념을 물어보는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으므로 한 번쯤 제대로 다뤄보는 것이 중요하다.
  중등부의 경우 물리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한국물리학회의 목표와 함께 다소 쉬워지는 추세다. 복잡한 계산 문제보다는 개념 위주의 이해력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60문항 중 40∼45문항 정도는 기본 개념문제, 15∼20문항 정도는 높은 난이도 문제다. 기본개념을 충실히 하면 충분히 수상 가능하다. 금상의 합격선은 오답 3∼4문제 정도로 보면 된다. 지난 2005년 최우수상을 받은 학생들(2명)이 오답 1문제 정도였다. 난이도에 따라 합격선은 달라질 수 있다.
 
중학교 내용 정확한 이해 선행돼야
  물리의 경우 기본 개념이 중요하기 때문에 중등부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고등과정을 바로 시작하면 힘이 든다. 따라서 먼저 중학교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중등 심화영역에 대한 교재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고난도 과학서와 함께 재미있는 물리여행 같은 개념서를 활용하면 좋다.
  물리올림피아드의 출제범위는 물리 1, 2 전 영역과 일반 물리학의 일부 영역이 포함돼 있다. 중등 과정이 끝나면 고1 과정을 정리하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물리 1, 2 영역은 전 영역이 고루 출제되는 편이나, 역학과 전자기 영역에서 70% 정도 출제되므로 이들 영역의 기본 개념과 심화 영역을 철저히 공부해 둬야 한다.
  열역학·빛과 파동·현대물리 영역은 기본 개념을 철저히 다뤄야 한다. 『하이탑 1, 2』『최신물리』같은 교재를 반복 학습하면서 일반 물리학의 회전운동 부분을 공부해 가면 도움이 된다.
  수학 성적이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이차방정식·연립방정식·삼각함수 등의 개념을 알아두면 직접 활용하지 않더라도 그래프를 해석하거나 계산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적분으로 다루는 문제는 중등부에서는 출제되지 않는다. 
  올해 한국물리올림피아드는 7월 20일 건국대에서 치러진다. 시험일이 기말고사 후 열리기 때문에 학생들이 내신과 물리올림피아드를 함께 준비하는 데 힘든 부분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평소 대비를 철저히 한 학생들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기말고사 준비를 하면서 틈틈이 편중된 공부보다는 전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각 단원의 핵심을 공부하면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시험장소가 서울이어서 지방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아쉽다.

도움말=타임교육홀딩스 특목입시전략연구소 함주형/051-715-0780/timeholdings.co.kr
프리미엄 김관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