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커스 주요 동작 및 용어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7호 05면

공중 천 Aerial silk(혹은 Tissue)
특수한 천에 매달려 펼치는 공중 곡예. 보통 6~10m가량의 천을 감거나 흔들거나 지탱하거나 솟구쳤다 떨어지는 등 각종 동작을 선보인다. 안전장치가 전혀 없이 오직 훈련된 기술로만 묘기를 펼친다.

공중 그네 Trapeze
정지돼 있거나 흔들거리거나 날 수 있는 그네 등으로 세분화된다. 수평 바에 타거나 매달려 흔들렸다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나는 그네(flying trapeze)에선 나는 사람(flyer)과 잡아 주는 사람(catcher)의 호흡이 중요하며 여러 명이 함께하기도 한다.

줄 타기 Tight rope(wire)
상당한 높이의 밧줄이나 와이어를 타고 걷는 기술. 균형을 잡아 주는 장대나 우산 따위를 들고 하기도 한다. 두 지점 사이의 균형점을 포착하는 게 관건이다. 줄 위에서 저글링이나 접시 돌리기를 선보이기도 한다.

독일인 물레 German wheel
독일에서 유래된 체조의 일종. 커다란 물레(수레바퀴)를 이용한 기술이다. 내부가 성인 남자의 키 정도 길이로, 손과 발을 이용해 틀을 잡고 이를 돌리며 묘기를 펼친다. 엄청난 힘과 완벽한 균형감각이 요구된다.

곡예 자전거 Acrobatic bicycling
특별히 주문 제작된 곡예용 자전거를 이용해 다양한 균형 묘기를 한다. 핸들 바 위에 서기, 뒤로 페달 밟아 나아가기, 한 바퀴로만 타기, 다른 아티스트와 함께 타기 등이 포함된다.

저글링 Juggling
공중에 물체를 던졌다 받았다를 반복하는 기술. 프롭(props)으로 통칭되는 물체는 공이나 곤봉(club), 링 따위가 포함되는데, 때로 횃불이나 칼 따위를 던져 받기도 한다. 물체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기술과 집중력이 요구된다.

디아볼로 diabolo
두 손의 막대기에 연결된 실패(spool)를 조작하고 통제하는 저글링의 일종. 막대와 줄, 신체 구석구석을 이용해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실패가 계속해 줄 위로 떨어지도록 하는 기술의 숙련도가 관건이다.

티터보드 teeterboard
시소와 비슷하게 원목으로 만들어진 긴 널빤지(teeterboard)를 이용한 기술. 널빤지의 양쪽 끝에서 점프를 해 서로를 공중으로 띄우면, 플라이어는 공중 묘기를 펼치고 착지한다. 인간 피라미드, 러시안 바 등 다른 기술과 연결된다.

손으로 균형 잡기 hand balancing
혼자 펼치는 솔로 동작과 두 명 이상이 선보이는 협력 동작이 있다. 바닥이나 구조물, 혹은 파트너의 신체를 버팀목 삼아 균형을 잡는 묘기다. 힘과 유연성을 모두 필요로 하는 기술일뿐더러 신체의 아름다움을 극명히 드러낸다.

비틀기 contortion
극도로 유연한 인대·힘줄·관절의 도움으로 신체를 극한의 상태까지 늘리고 구부리고 비트는 묘기. 대부분 아티스트는 척추가 유연한 방향에 따라 앞구부리기와 뒷구부리기로 나누어 기술을 선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