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해리 경제수역 선포 관련 한반도 주변상황-한국입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우리 정부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선포 방침은 해양이용에 관한 세계적 추세에 따라 실타래처럼 얽힌 한반도 주변의 연안질서를 바로 잡자는 의도다.특히 지난해 12월 발효된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협약(해양법협약)에 맞춰 추진해온 한 반도 주변 해역정비에서 주도권을 쥐겠다는 포석이기도 하다.해양법협약에 따르면 연안국이 선포할 수 있는 관할권은 영해(12해리).접속수역(24해리).EEZ,그리고 대륙붕(200~350해리)등 네가지다. 우리 정부는 지난 77년 12해리 영해를 선포했고 78년에는 한-일간 대륙붕 협정을 체결했다.지난 6일에는 24해리접속수역이 선포됐다.접속수역은 영해와 달리 타국의 선박이 들어올 수 있으나 해당 연안국의 경찰권이 행사된다.
EEZ선포는 주변 일본.중국과의 긴 협상을 위한 선언이라고도할 수 있다.
한국은 일본과는 최소 23.57해리(대한해협)에서 최장 450해리,중국과도 최장 350해리에 지나지 않아 경계선 획정을 위한 협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EEZ에서는 ▶수면으로부터 해저 하층토에 이르기까지 생물및 무생물 자원▶경제 개발및 탐사▶인공섬.구조물 설치▶해양조사 관할▶해양 환경보호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통항의 자유,상공 비행의 자유를 방해할 수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영해와 다름없는 포괄적 권리를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일,한-중간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될 소지가많다.일단 EEZ선포후 관계당사국간 협상을 하는 국제관례를 따르긴 하겠지만 한-일,한-중간에는 장기간에 걸친 다툼이 불가피하다. 일본은 이미 지난 77년 러시아의 경제수역 선포에 대응해 200해리 어업수역을 선포했으나 한-일,한-중 해역은 제외해놓고 있는 상태다.특히 양국간에는 EEZ선포후 독도영유권 분쟁이 재연될 소지도 적지 않다.
한-중 협상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중국은 아직까지 영해기선을발표하지 않은 채 넓게는 50해리까지 확장된 중-일 어업보호선(일명 毛澤東라인)을 사실상 영해로 규정해오고 있다.특히 중국은 우리 정부가 선포한 어업자원보호수역(일명 李 承晩라인,50~100해리)을 인정치 않고 있다.따라서 한반도 주변해안을 둘러싼 3국의 입장을 정리,EEZ경계선을 획정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진통,나아가 긴장상태 초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성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