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현대차 노조만 …” ‘쇠고기 파업’ 투표에 윤여철 사장 자제 호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자 윤여철(사진) 사장이 “이는 정치파업”이라며 불참을 호소하는 담화문을 13일 발표했다.

윤 사장은 이날 담화문에서 “언제까지 현대차만 정치파업의 희생양이 돼야 하느냐”며 노조 측의 자제를 촉구했다. 그러나 노조 측은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 파업은 근로자의 건강 문제와 직결된 일종의 민생 파업”이라고 반박했다. 윤 사장은 “고유가와 원자재 파동으로 나라 경제가 70년대 오일쇼크 때보다 더 위기”라며 “그런데도 노조는 10일에 잔업을 거부하고, 12일엔 파업을 위한 찬반투표까지 실시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이어 “이런 행동은 현대차를 더 큰 위기로 내몰고, 결국 노동자 스스로도 고용을 불안하게 만들 뿐”이라고 덧붙였다.

윤 사장은 이어 “GM대우 등은 민주노총 금속노조가 주도한 10일의 상경투쟁에 당초 참가하기로 했다가 취소해 결국 현대차 노조만 참가했다”며 “국내 완성차 업체 4사 중 실제 잔업을 거부하고 총파업에 동참한 곳은 우리밖에 없다“고 밝혔다. 현대차 지부는 10일 민주노총의 방침에 따라 미국 쇠고기 협상 전면 무효화와 재협상을 촉구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했다. 이를 위해 울산공장 주간조 1만2000여 명은 두 시간 동안 잔업을 거부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는 ▶1996∼97년 노동법 개정 반대 파업 ▶2000년 대우자동차 매각 반대 파업 ▶2003년 비정규직법 및 주 5일 근무제 촉구 파업 ▶2006∼2007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파업 등 다양한 외부 이슈 파업에 동참한 바 있다.

현대차 지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정치파업이라며 참여를 걱정하는 글이 많이 올랐다. ‘기억’이라는 필명의 한 조합원은 “한·미 FTA 파업 때도 과연 노조가 승리했다고 할 수 있는가”라며 “이 파업을 왜 해야 하는지 노조가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조합원은 “쇠고기 수입 반대와 공기업 매각 반대 등 (명분은) 좋은데, 왜 파업을 하면서까지 해야 할까”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 지부의 장규호 공보부장은 “회사 측이 이번 일을 정치파업으로 몰아가는 의도가 의심스럽다”면서 “생산 현장도 민생 안전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만큼 정당한 명분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우병 소’를 먹고 건강이 나빠지면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막으려는 파업은 정당하다는 게 그의 논리다.

장 부장은 “자동차 산업이 고유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 파업을 안 한다고 기름값이 떨어지지는 않는다”며 “민생이 먼저 안정돼야 노동자들이 안심하고 생산 현장을 지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