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고위정치회의 열어 쇠고기 재협상 결론내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통합민주당의 차기 당권 주자로 뛰고 있는 정대철(얼굴) 상임고문은 10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혼돈에 빠진 정국을 수습할 정치적 해결책으로 ‘고위정치협상회의’를 제안했다.

정 고문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여야 정당의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청와대 비서실장과 국무총리, 관계 장관이 참여하는 ‘고위정치협상회의’에서 재협상 추진 문제를 합의로 결론 내는 것이 이 난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정 고문은 “대통령의 지지율이 10%대로 떨어져 쇠고기 문제는 이명박 대통령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사안으로 발전했다”며 “욕을 먹더라도 야당이 성난 민심을 누그러뜨리는 정치력을 발휘해야만 이명박 정부의 파국이 정치권 전체의 재앙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고문이 주장하는 정치적 해결의 전제는 국회 정상화다. 그는 촛불시위에 대해 “직접민주주의의 참여 행태로 그 자체도 값진 것”이라고 평가한 뒤 “하지만 정당과 정당 지도자에겐 국민들의 뜻을 수렴해 국회로 가져와야 할 책무가 있다”고 지적했다.

손학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 역할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당 지도부가 나서서 의원들을 원내 투쟁으로 이끌어야 한다”며 “원내 투쟁이 장외투쟁 못지않게 효율적인 투쟁 방식이라는 것을 국민과 당원들에게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즉각 등원 주장에는 국회를 구성하더라도 한나라당이 정국을 주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낙관론이 깔려 있다. 정 고문은 “81석보다 의석수가 더 적은 야당도 해봤다”며 “대통령이 10%대 지지율을 보이는 상황에서 여당이 숫자가 많다고 국회를 독단적으로 끌어갈 수는 없는 일”이라고 단언했다.

정 고문은 최근 내홍을 겪고 있는 전당대회 대의원 선출 방식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당원이면 누구나 대의원에 대한 피선거권과 선거권을 가져야 함에도 사실상 지구당 위원장이 대의원을 지명하게 해 민주적 절차와 원칙이 무시됐다”며 “소수 계파에 일정 지분을 안배해 계파별 나눠먹기를 계속하는 것도 당의 화학적 결합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