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크, 부시에 또 한번 강수 "9.11 정보 모두 공개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클라크 파문'이 점입가경이다. 리처드 클라크 전 백악관 테러담당 보좌관이 최근 자신의 저서'모든 적에 맞서(Against All Enemies)'를 출판하며 시작된 파문이 '백악관과 클라크의 난타전' 양상으로 비화하고 있다.

클라크는 28일 NBC '언론과의 만남'에 출연, 자신이 2002년 7월 상.하원 정보위원회에서 비공개 증언한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는 공화당 요구에 대해 "환영한다. 하는 김에 관련 자료도 같이 풀자"며 맞받아쳤다. 공화당은 ▶부시 행정부가 9.11 이전 테러를 긴급 사안으로 간주하지 않았고▶무리한 이라크 공격으로 테러와의 전쟁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클라크가 책에서 주장한 내용이 당시 증언과 모순된다며 기밀로 분류돼온 증언록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클라크의 강수=클라크는 방송에서 "여섯 시간에 걸친 당시 내 증언을 찔끔찔끔 흘리지 말고 전부 기밀 해제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콘돌리자 라이스 국가안보 보좌관이 2월 7일 9.11 위원회에서 한 비공개 증언과▶자신이 2001년 1월 부시 행정부 출범시부터 9.11 사이 라이스 보좌관에게 보낸 모든 e-메일과 메모도 공개하자"고 주장했다.

클라크는 "이들 자료가 공개되면 내 저서가 당시 증언과 모순된다는 주장이 거짓임이 입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클린턴 행정부가 테러에 훨씬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부시 행정부는 출범 초기 100번 회의에 한번 정도만 대테러 회의를 했다"고 맹공했다. 클라크의 주장을 반박하면서도 문제의 확대를 우려해 관련 자료의 전면공개는 꺼려온 부시 행정부는 난처한 입장이 됐다.

◇라이스, 공개 증언 거부=논란이 증폭되면서 9.11 조사위원회의 토머스 킨 위원장은 이날 라이스 보좌관에게 9.11 당시 상황에 대해 공개 증언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라이스 보좌관은 이날 밤 CBS '60분' 프로에서 "권력 분립에 따라 현직 보좌관은 의회에서 공개 증언하지 않는 게 관례"라며 거부했다.

콜린 파월 국무장관과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도 이날 잇따라 방송에 출연해 라이스 보좌관의 증언 거부를 옹호하고 클라크 주장을 반박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부시 행정부는 클라크 파문을 과소평가한 끝에 난처한 처지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신문은 "이번 파문이 부시 대통령에게 미친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다"고 뉴스위크 여론조사를 인용했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