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집회 '끝'…찬반 진영 모두 종료 선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탄핵을 둘러싼 대규모 찬반 집회가 지난 토.일요일 집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반핵.반김정일 국권수호 국민대회협의회'(위원장 봉두완)는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5000여명(경찰 추산)이 모인 가운데 탄핵에 찬성하는 '나라사랑 문화 한마당'을 열었다.

이들은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기 전에 스스로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며 "일부 언론이 편파보도를 해 국민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협의회 관계자는 "촛불집회를 중단한다면 우리도 거리집회를 그만둘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탄핵무효 범국민행동은 지난 27일 서울 광화문에서 3만5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촛불집회를 열고 "도심에서의 대규모 촛불행사를 끝내고 탄핵무효 1000만 서명운동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김기식 범국민운동 공동집행위원장은 28일 "지난 15일 동안 온.오프라인 연인원 150만명이 참가한 촛불행사를 통해 국민 의사를 충분히 보여줬다"며 "국민의 생활공간 속으로 탄핵무효 운동을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명동성당 앞을 '민주수호 시민광장'으로 명명하고 29일부터 이곳에서 소규모 촛불집회를 열 계획이다.

범국민행동이 촛불집회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배경에는 주말마다 계속된 대규모 집회로 인한 부담과 선관위의 탄핵집회 불허방침, 검찰의 체포영장 청구 등 정부의 강경 대응이 영향을 끼쳤다. 촛불집회를 주도한 범국민행동 최열 공동대표와 박석운 집행위원장 등 4명은 30일 경찰에 출두할 예정이다.

촛불집회는 지난 12일 탄핵 가결 이후 시작됐으며 경찰의 야간집회 불허 방침에 맞서 범국민행동이 문화행사임을 내세워 강행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검찰.경찰은 촛불집회를 계속 불법으로 규정했고 선관위도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4월 2일부터의 집회를 전면 금지했다.

한편 참여연대 등이 주축이 된 총선시민연대는 다음달 6일 예정대로 '낙선 명단'을 발표하는 등 총선 활동을 재개한다.

배노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