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읽기] 1인2표제 변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4.15 총선에서 유권자는 투표용지 두장을 받는다. 하나는 지역구, 다른 하나는 비례대표 투표다. 유권자는 각기 다른 당에 투표할 수도 있어 1인2표제는 4.15 총선의 또 하나의 변수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는 지난 24일 수도권 유권자들에게 "투표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삼겠는가"라고 물었다. 인물 49.5%, 정당 45.9%였다. 과거엔 통상 7대 3이었다. 탄핵 때문에 이번에 '정당'이 치솟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인물'이 반이다. 한귀영 실장은 "열린우리당의 정당 지지도가 높아도 당의 지역후보가 '인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유권자가 교차투표를 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따로따로 2표'를 기대하는 정당들이 많다. 1인2표제가 처음 실시된 2002년 지방선거 때는 민노당이 혜택을 봤다. 민노당은 지역구(광역) 득표율이 4.6%였지만 비례대표는 8.1%여서 의석 9개를 얻었다.

한나라.민주당은 교차투표가 어느 정도나 탄핵 상처를 달래줄지 주목한다. 한나라당 선거전략가 C씨는 "비례대표는 열린우리당을 찍더라도 지역후보는 한나라 인물을 선택할 것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광주의 민주당 관계자 H씨는 "열린우리당 지지자들이 1인2표제를 이용해 민주당에 대한 애정도 보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우세를 누리고 있는 열린우리당 관계자들은 "투표의 일관성 때문에 교차투표는 별로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1인2표제는 원래 비례대표를 제대로 뽑자는 것이다. 비례대표를 지역구 선거에 섞지 말고 따로 정당만 보고 찍자는 것이다. 1998년 총선에서 독일 녹색당은 지역구 당선자가 한명도 없었다. 하지만 1인2표제 덕분에 비례대표 47석을 확보할 수 있었다.

김진 정치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