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연금보험의 진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주식에 투자해 실적에 따라 연금을 받는 변액연금보험 상품에 원금 보장 기능이 보강되고 있다. 주식에 투자하지 않는 일반 연금보험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면서도 기존 변액보험보다 안전성을 높인 게 특징이다.

교보생명은 9일부터 원금의 130%를 보장하는 ‘교보프라임플러스 변액연금보험’을 판매한다. 블루칩주식혼합형·배당주식혼합형 등 11개 펀드 중 여덟 가지를 선택해 분산 투자할 수 있다.

펀드 운용 실적이 나빠도 납입한 보험료의 130%를 재원으로 연금을 지급한다. 단 가입한 지 25년이 지나야 한다. 예컨대 45세 남자가 매월 50만원씩 10년간 보험료를 내는 경우, 70세 이후에 연금을 받아야 원금 보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납입한 보험료는 6000만원. 만일 주식 운용 성과가 좋지 않아 원금 손실이 나더라도 70세부터 원금의 130%인 7800만원을 재원으로 연금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주식 시장이 불안하면서 원금 손실이 나지 않을까 걱정하는 고객을 위해 이 상품을 내놨다” 고 설명했다.

대한생명이 올 2월 내놓은 ‘v-dex변액연금보험’은 주식에 투자해 전체 적립금(원금+수익금)이 원금의 130%에 달하면 이 금액을 보장하고, 이후엔 주가지수에 연동해 수익을 올리는 형태로 바꿔 운용한다. 주가지수로 연동하는 방식으로 바뀐 이후에는 주가가 더 떨어져도 원금의 130%는 보장된다. 메트라이프생명의 ‘마이초이스변액연금보험’은 일시금을 내고 15년 이후에 연금을 받으면 원금의 130%를 보장한다. 매월 보험료를 내는 스텝형 상품의 보장 금액은 원금의 110~120%다.

원금 보장 범위가 운용 수익에 따라 매년 높아지는 상품도 있다. ING생명은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투자 수익률에 따라 매년 상향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업 인베스트 변액연금보험’ 상품을 지난달 15일 내놨다. 매년 보험 계약 날짜에 적립금(원금+초과 수익)의 80%와 기존 보증 금액을 비교해 많은 쪽을 새 보증 금액으로 정한다. 주식 시장 상황이 나빠 주가가 떨어져도 한번 오른 보증 금액은 계속 유지된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