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수능 인터넷 방송 Q & A]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다음달 1일부터 수험생들은 학교뿐 아니라 가정.PC방의 PC로도 EBS 수능 인터넷 동영상 강의를 내려받을 수 있다.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 강의를 PC에 저장해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은 위성.케이블 채널(플러스1)과 인터넷(실시간 및 다운로드 방식)을 모두 활용해 수능강의를 시청할 수 있다. EBS 수능 강의 활용을 문답으로 알아본다.

-강의를 다운로드 받으려면.

"EBS 사이트(www.ebsi.co.kr)에 접속해 회원으로 가입하고 강좌를 신청하면 된다. 실시간 동영상 시청 방식보다 화면 흔들림이나 끊김 현상이 적다."

-다운로드 시간은 언제가 좋나.

"가급적 오후 9시부터 자정은 피해야 한다. 이 시간대 인터넷에 접속해 다운로드 받을 경우 접속이 한가할 때 소요되는 시간(강좌당 평균 10여분)보다 더 걸리거나 중간에 끊길 수 있다."

-인터넷 동영상과 위성방송 녹화를 비교하면.

"화질 면에서는 방송 녹화가 단연 낫다. 특히 교실에서 단체 시청할 경우 다운로드한 동영상을 PC에 연결한 대형 TV화면으로 보면 화면이 찌그러지거나 흐릿해 10분 이상 시청이 어렵다."

-학교에선 인터넷 수준별 강의를 어떻게 이용해야 하나.

"전산실 등에서 학생들이 개별 PC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학교에서는 다운로드 방식을, 자율학습 시간에 단체 시청할 때는 미리 학교 측이 위성방송을 녹화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게 좋다."

-인터넷과 위성방송으로 나오는 수준별 강의 진행은.

"월~금요일 오전 2시40분부터 6시까지 50분씩 국어.영어.수학.과학탐구(금요일엔 사회탐구) 순으로 진행된다. 토.일요일은 한주간 방송을 재방송해준다. 이 시간대에 잠도 안자고 시청하기 힘들기 때문에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의 예약녹화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새벽 시간대 강의 시간(매일 3시간20분)을 어떻게 다 녹화하나.

"비디오 녹화기에는 녹화 모드 설정 기능이 있다. 120분짜리 비디오 테이프를 넣어두고 SLP(또는 EP)모드 버튼을 눌러 녹화하면 360분까지 녹화가 가능하다."

-새벽 말고 다른 시간대 위성방송은 어떻게 진행되나.

"오전 7시에 시작된다. 순서는 '고1(뉴 포트리스)-고2(수능 초이스)-고3(수능 출제유형분석)순이다."

-고3 수험생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좋을 강좌는.

"오전 1시20분부터 50분간 수능에서 실제 출제된 문항에 대한 오답 분석을 시청할 수 있다. 금요일엔 이 시간에 대입가이드도 해준다."

강홍준 기자

*** 바로잡습니다

3월 24일자 10면 'EBS 수능 인터넷 방송 Q&A' 기사 중 EBS 사이트는 'www.ebsi.com'이 아니라 'www.ebsi.co.kr'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