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권문제 본격 거론-28일 유엔총회 연설서 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그동안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의식적으로 외면해왔던 정책을 수정,앞으로 유엔등 국제무대에서 공개적이고 직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할 방침이다.
〈관계기사 2面〉 이와 관련,공노명(孔魯明)외무장관은 지난달31일 유엔인권고등판무관(UNHCR)에 북한이 납북자와 이산가족 문제에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UNHCR가 이문제에 직접 개입해 줄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한 것으로 23일 외무부 국감자료에서 확인됐다.
孔장관은 오는 28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서도 북한 인권문제를 공식 제기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孔장관은 23일 오후 뉴욕으로 출발했다.
외무부는 자료에서『孔장관은 지난달 31일 허승(許陞)駐제네바대사를 통해 납북자와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 UNHCR의 직접 개입을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남북관계 개선과 북한과의 대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직접 거론하는 것을 자제한 대신 제3국이나 민간단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왔다.
〈李相逸기자〉 이에 대해 외무부는『정는 자료에서『孔장관은 지난달 31일 허승(許陞)駐제네바대사를 통해 납북자와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 UNHCR의 직접 개입을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남북관계 개선과 북한과의 대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직접 거론하는 것을 자제한 대신 제3국이나 민간단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왔다.
이에 대해 외무부는『정부는 지금까지 국제무대에서 남북대결을 지양하고 남북관계 진전을 유도하기 위해 북한 인권문제를 제3국과 민간단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적해 왔으나 앞으로는 유엔인권위등 유엔무대와 국제기구에서 이 문제를 보다 적극 적으로 거론하겠다』고 밝혔다.
또『현재 유엔등 국제무대에서는 인권선진국을 포함해 대부분 국가의 인권문제가 논의되는데 반해 불법 강제납북과 같은 중대한 인권침해 문제가 세계 여론의 관심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온당치못하다』고 강조했다.
외무부는 지난 7월30일에는 동진號 선원등 납북자 4백40여명의 가족들이 북한 억류자 생사확인과 석방을 요구하는 진정서를,북한 요덕.온성13호 수용소를 탈출해 귀순한 강철(27).안혁(27).안명철(26)씨등 3명은 수용소 인권 유린실태를 고발하는 탄원서를 각각 UNHCR에 발송했다고 밝혔다.이밖에 지난해 12월 안충학씨등 북한에서 귀순한 벌목공 5명도 시베리아벌목장의 참상을 고발하고 이의 개선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UNHCR에 제출했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