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지방공무원化 반대 64%-교육개발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교사 3명중 2명 가량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공무원의 지방공무원화에 반대하고 있으며 교육개혁안에 관한 이해 정도도 보통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최근 전국 14개 연수원 연수대상 1,2급 정교사 1천7백7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육공무원의 지방공무원화에 대해 찬성은 31.8%에 그친 반면 반대는 64.3%나 됐다.
또 2학기부터 시범운영되는 학교운영위의 성격에 대해서는▲의결기구 13.5%▲자문기구 39%▲의결및 자문기구 47.5%의 응답비율을 보였으며,학교운영위 위원장을 교장이 맡아야 한다고 답변한 교사가 응답자의 57.1%를 차지했다.
교장.교사초빙제와 관련,응답교사중 65.7%는 초빙교장의 교직경력등 자격 제한에 반대(찬성 30.3%)했으며,초빙교사가 되기를 원하거나 되기위해 노력하겠다는 응답(36.7%)보다 「되기 싫다」는 응답(57.5%)이 높았다.
수석교사제에 대해서도▲교사→교감→교장 및▲교사→선임교사→수석교사로 승진체계를 이원화한 정부안에 찬성한 교사는 31.9%였으나▲선임교사와 교감.장학(연구)사▲수석교사와 교장.장학(연구)관간에 전.보임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63.
3%에 달해 정부안과 차이를 보였다.
이밖에 연공서열중심 승진.근무실적 평정제도를 능력및 실적중심으로 개선하는데 66.2%의 교사가 찬성했고 현재▲국교 25.
5시간▲중학 18.52시간▲고교 16.05시간으로 조사된 주당수업시간에 대해서는▲국교 22시간▲중학 20시간 ▲고교 20시간으로 조정돼야 한다는 응답(52%)이 가장 높았다.
〈權寧民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