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정국 野圈공조 가능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새정치국민회의가 사정(司正)에 대한 반격으로 야권공조를 외치고 나섰다.
사정정국에 따라 자당 소속의원들중 사상(死傷)자가 줄을 잇는데 앉아서 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낙도(崔洛道)의원이 구속된데다 박은태(朴恩台)의원의 공갈죄까지 거론되는 마당이다.
더욱이 선거사범으로 허경만(許京萬)전남지사의 이름까지 오르내리고 있다.
언제까지 국민회의를 향한 화살이 계속될지 모를 지경이다.
때문에 이종찬(李鍾贊)야당탄압비상대책위원장은 4일 다른 당과접촉해 공조를 공식 제의할 예정이다.
이러한 국민회의의 다급함과는 달리 다른 야당들은 느긋하다.
강 건너 불 보듯하고 있다.가끔 한마디씩 거들긴 해도 당하는건 국민회의뿐이다.
여권과 국민회의의 대결국면이기 때문이다.
국민회의의 공조제의는 다른 야당에 대한 구조요청이다.
국민회의는 야권의 동지애에 기대야할 정도로 긴박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당을 갈라나간 민주당에까지 SOS를 보내야 할 정도다.야권공조가 이루어지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일제히 야당탄압이라고 주장하면 국민회의는 명분을 얻는다.정부.여당에도 부담이 된다.
사실 예전에 이같은 사태가 벌어졌으면 벌써 야권공조가 이루어졌을 것이다.정치자금문제는 야당의원 누구에게나 남의 일이 아니다.언제 자기도 똑같이 당할지 모르는 민감한 문제다.
그런데 요즘은 사정이 매우 다른 것같다.3야 공조체제 구축을회의적으로 내다보는 의원들이 대부분이다.
동정은 하면서도 도움을 주기에는 꺼림칙하다는 것이다.
야권 공조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국민회의가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쥘 가능성도 꺼리고 있다.
특히 민주당과 국민회의의 골은 너무 깊다.당내에 『같은 의원인데 도와주자』는 얘기가 없지는 않지만 대세는 외면하는 쪽이다. 민주당보다 조금 나은 듯해도 자민련도 마찬가지다.
김종필(金鍾泌)총재는 『검찰의 태도를 두고보자』고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비리에 대한 수사는 정당하지만 표적수사는 안된다는양비론(兩非論)이다.
지방선거중 DJ-JP간의 이심전심(以心傳心)이 대권도전 의사표시로 금이 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권 사정이 더 확산되면 공조체제가 구축될 수도 있다. 민주.자민련도 위기감을 느끼고 자신을 방어하려 할 것이기때문이다.
〈朴泳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