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對北 전략협의체"구축-經協.외교문제등 공동대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워싱턴=金斗宇특파원]미국을 국빈방문중인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은 27일오전(한국시간 28일새벽)빌 클린턴 美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에 대한 경제협력과 외교문제등에서 공동보조를 취하기 위해「대북(對北)공동전략고위협의체제」를 구축 키로 합의했다. 이에따라 양국은 오는 10월 韓美 연례안보협의회(SCM)직후 외무차관급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키로 했다.
〈관계기사 3面〉 양국정상은 또 북한의 최근 정전체제 무력화움직임과 대미(對美)평화협정 체결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것과 관련,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문제는 당사자해결 원칙에 따라 남북한간에 협의돼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는 북한 의 정전협정 폐기와 北-美 평화협정 체결 주장에 대응해 정전협정을 대체할 남북한간 평화협정 체결방안이 협의됐다는 의미로 해석돼 주목된다.金대통령은 이를 바탕으로 오는 8월15일 광복 50주년을 맞아 남북한간 평화협정 체결,미국과 중국이 이를 보증하는 이른바「2+2」형태등의 획기적인 대북 평화안을 제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클린턴대통령은『미국은 남북간의 의미있는 대화노력을 적극 지지하며 北-美 관계개선은 이와 병행한 북한의 對한국 관계개선 노력에 좌우될 것』이라고 남북대화가 北-美 관계개선의 전제조건임을 분명히 했다.
클린턴대통령은 이어『북한핵문제 해결을 위해 韓.美.日 3국의공조체제는 긴밀하다』며『앞으로 있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북한간 경수로 공급협상에서 3국은 한국형 경수로 제공과한국의 중심적 역할이 반드시 관철돼야 한다는데 한치의 이견도 없다』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또 주변국들의 대북경제 협력이 북한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북한사회의 개혁.개방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호 긴밀한 협의체제를 강화해나갈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강조했으며 클린턴대통령도 이에 공감을 표시했다.
양 정상은 또 北-美 연락사무소 개설등 관계개선은 남북관계의진전.조화와 병행을 이루면서 추진돼야 한다는데도 합의했다.
한편 이날 회담에서 金대통령은『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동북아 지역의 평화.안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해 한국이 美-中관계 개선에 건설적 역할을 할 용의가 있다』고 美-中관계개선에 있어서 중재의사가 있음을 밝혔다.
이에대해 클린턴 대통령은『미국의「하나의 중국」입장에는 변함이없다』면서 한국의 중재의사를 수용했다.
한국정부는 이와관련,미국.중국등에 대한 실제적인 중재노력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