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蘇수교가 北核개발 자극-北,兩國외교 국제고립화등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북한은 지난 90년 9월 예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당시 소련 외무장관으로부터 韓蘇 수교방침을 통보받고 핵무기 개발을 본격 추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당시 북한은 韓蘇수교를 저지하기 위해「몇가지 형태의 무기들」을 만들 수밖에 없다고 판 단,핵개발을무기로 소련을 위협하다 실패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러시아 국제관계대학 총장이자 외교문제 권위자인아나톨리 토르쿠노프 박사가 외교문제 전문가 E 우핌체프와 공동으로 한반도에 관한 옛소련.러시아측 미공개 공식문서들을 모아 최근 발간한 『한반도문제:새로운 시각』이란 저서 에서 확인됐다.다음은 『한반도…』중 韓蘇수교 비화를 담은「고르바초프 新사고와 한반도 안정문제」 부분 요약.
80년대말 소련이 선택할 수 있는 한반도 정책에는 세가지가 있었다.첫째는 종전처럼 북한을 전폭 지지하는 것으로 한반도에 실제적으로 존재하는 2개의 정부를 인정하지 않는 것,둘째는 한국을 정치.외교적으로 승인하는 것,셋째는 보다 현 실적인 방법으로 기존의 對북한 친선관계를 유지하면서 한국과의 경제.정치.
문화협력을 외교적 승인의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었다.결과는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한국을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협력상대자로맞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소련이 외교관계를 정상화하기에 앞서 셰바르드나제 외무장관이 90년9월2~3일 평양을 방문했다.셰바르드나제장관은 김영남(金永南) 북한 외교부장에게 소련이 한국과 공식 외교관계를맺을 것이라고 통보했다.셰바르드나제장관은 한국과 경제협력을 강화해야 하고 소련 사회의 여론이 공식 외교관계 수립을 원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역설했다.
이에 대해 평양당국은 한국과 소련의 외교관계 수립은 ▲한반도분단을 공고화하고 통일의 저해요인이 된다 ▲북한을 국제사회로부터 격리시킨다 ▲북한의 사회주의 세력을 무너뜨리기 위한 한국-미국-일본의 동맹이 형성된다 ▲한국과 소련의 국 교정상화는 북한으로 하여금 자력으로「몇가지 형태의 무기」를 만들도록 강요할것이다 ▲한민족의 통일노력을 좌절시킬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분명히했다. 북한 언론매체는 韓蘇수교와 관련해 反蘇캠페인을 전개했으며,소련 지도부와 소련의 정책을 신랄히 비판했다.소련 지도부내에서도 한가지 목소리를 낸 것은 아니었다.고르바초프대통령 측근이었던 예브게니 프리마코프의 경우 국교정상화에 적극 반 대했으며(그는 후에 세계경제.국제관계연구소 소장으로 한국과 교류를적극적으로 지원했다),셰바르드나제장관을 비롯한 외무부도 서두르지 않는 쪽을 선호했다.특히 셰바르드나제장관은 88년 5월 모스크바를 방문한 김영남을 만나 「공산주의자로 서」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어 점진적 정상화를 주장할 수밖에 없었다.대통령 측근과 외무부 직원들 간에 주도권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그러나 韓蘇 관계정상화는 한반도 문제에 관해 소련 정치권에 새로운 가능성 을 열어주었다.이는 한반도 안정방안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이라는 입장에서도 그렇고 소련의 국가적 이익이라는 측면에서도 그러했다.
[모스크바=聯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