阪神대지진 半年맞은 일본-공공시설 정상화 도시복구 부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17일로 효고(兵庫)縣 남부지진 발생 6개월을 맞는다.
희생자 5천5백여명,건물 붕괴 20만棟이상의 엄청난 피해를 낸 천재지변(天災地變)도 일본인 특유의 단결력으로 상처가 거의아물어가고 있다.삼풍(三豊)백화점 붕괴란 아픈 상처에 시달리고있는 우리에게 지진 후유증을 차분히 극복해나가 는 일본인들의 모습은 교훈이 될 것이다.
일본정부의 적극적인 복구작업으로 효고현 철도.도로.항만.통신등 공공설비는 대부분 정상을 되찾았다.그러나 아직도 1만8천여명의 피난민들이 가설주택에서 어렵게 생활하고 있으며 새 도시건설도 생각만큼 순조롭지 못하다.이번 지진으로 상당 수 빌딩이 붕괴된 고베(神戶)의 중심지 산노미야(三宮).
이 지역의 빌딩 약 5백50棟중 2할이상에 대한 해체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새 빌딩건설 계획은 좀처럼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빌딩을 새로 지어도 입주할 사람이 없을 것이란 건축주들의 불안 때문이다.활력잃은 고베경제의 현실을 상징적으 로 말해주고있다. 이번 지진은 방재(防災).안전.위기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줬다.일본정부는 지진발생 직후 피해지역 복구대책과 함께 전국적인 방재대책 재검토에 착수했다.각종 시설에 대한 내진성(耐震性)을 강화했으며 재해발생 직후의 정보전달시스템을 새롭 게 정비했다. 95년 일본건설백서는 『과거 대지진의 역사가 방재대책의 역사였다』는 점을 강조,이번 지진을 계기로 방재개념을 강화할 것을 역설했다.
건설성은 도로.교량.주택,운수성은 철도.항만시설,통산성은 공업용 수도시설등에 대한 조사검토위원회를 각각 설치해 내진기준의변경작업을 추진중이다.
***위험분산 이번 지진 발생이후 일본의 정.재계에서는 수도기능의 이전(移轉)문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전국개발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국토심의회와 국회 이전조사회에서도 중점 토의대상에 수도의 위험분산문제가 집중 거론되고 있다.
이전조사회가 6월초 마련한 중간보고서는 『도쿄(東京)와 동시에 피해볼 가능성이 적은 지역에 新수도를 빨리 건설하는 것은 피해에 강한 국토건설을 위한 기본적 대응책이 된다』고 강조하고있으며,지난달말 발표된 연립여당의 新3당합의서에 도 2년내에 新수도 후보지를 결정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연대(連帶)강화 이번지진을 계기로 지방자치단체와 자위대간 협조체제,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등이 강조됐다.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의 요청이 있어야만 가능했던 자위대의 구조활동을 기초단체장의 요청만으로 가능케하는 방안과 자위대의 독자적판단에 의한 출동을 가능케 하는 방안등이 거론되고 있다.
[東京=金國振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