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D-6] 수도권 25~30곳 막판 혼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4·9총선이 엿새 앞으로 다가왔다. 선거전이 종반을 향하면서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표심을 잡으려는 각 당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전체 지역구 의석의 40% 이상이 몰려 있는 수도권은 전통적으로 총선의 승부를 가름해 온 분수령이다.

SBS의 지난달 30일 판세 분석에 따르면 수도권 111개 선거구 중 한나라당 우세 지역은 62곳이다. 통합민주당 후보 우세 선거구는 20곳이다. 현재는 한나라당의 전반적인 수도권 우세가 감지되는 셈이다. 하지만 이 조사에서 1, 2위 후보가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는 경합지역은 28곳(수도권의 25.2%)이나 됐다.

1일 중앙일보의 판세 분석에서도 111개 수도권 선거구 중 오차범위 내 추격전이 진행 중인 선거구가 40여 곳을 넘었다.

이처럼 경합 지역이 확대되면서 각 정당은 수도권을 선거 막판 최대 격전지로 꼽고 있다. 개헌 저지선인 100석을 노리는 민주당은 지역구에서만 85석 이상을 얻어야 한다. 이 때문에 일단 수도권 경합 지역에서 20여 석 이상의 승리를 추가로 거둬야 한다. 그래야 호남에서 얻을 30여 석 안팎과 충청·강원에서 기대 중인 10여 석 정도에 수도권 40여 석을 묶을 수 있다.

168석 안팎의 ‘절대과반(국회 모든 상임위에서 과반을 차지할 수 있는 의석수)’을 노리는 한나라당도 격전지에서의 선전을 통해 수도권 의석 70개 이상을 얻어야 한다. 영남에서 기대하고 있는 65석 이상과 비례대표(25석 정도)를 엮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현재 충청권 10개 정도 선거구에서만 우세를 보이는 자유선진당은 수도권에서 의석을 확보해야 ‘지역정당’의 꼬리표를 뗄 수 있다. 각 당은 이 때문에 화력을 수도권에 집중하고 있다. 강금실 민주당 선대위원장은 선거운동 개시 이후 지난달 29일까지 수도권의 경합지역만 찾아 다녔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정권 견제론’에 동의하는 수도권 30~40대의 투표율을 높이는 방안에 골몰하고 있다. 한나라당에선 선거운동 개시 이후 지방을 순회하던 강재섭 대표가 1일 서울·경기의 12개 선거구를 누볐다. 한나라당은 친박연대나 무소속 연대가 잠식하고 있는 표를 줄이기 위해 수도권에서 ‘보수후보 단일화’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충청권에 주로 머물러온 이회창 선진당 총재도 2일 하남·의정부·남양주 등 경기 지역 7개 선거구를 잇따라 찾았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한귀영 연구실장은 “여당 견제론이 얼마나 거세질지, 투표율이 얼마나 나올지가 결국 수도권의 승부를 결정짓는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