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이름이 친박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공천 탈락에 불복, 한나라당을 탈당한 인사들의 ‘박근혜 마케팅’ 때문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고민에 빠졌다.

미래한국당은 18일 당 이름을 앞으로 ‘친박연대’로 쓰기로 결정하고 당명 변경이 가능한지 선관위에 질의를 했다. 공식등록에 앞서 유권해석을 요청한 것이다. ‘친박’은 ‘친박근혜’의 줄임말로 지난해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박근혜 전 대표 지지성향이었다는 뜻이다.

원래 미래한국당은 정근모 전 과학기술처 장관이 지난해 대선 출마를 위해 창당한 참주인연합의 후신이다. 하지만 대선 이후 창당 멤버들이 탈당한 데 이어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친박 인사들이 잇따라 입당하면서 ‘친박 정당’으로 성격이 바뀌었다.

따라서 미래한국당이 친박연대로 이름을 바꾸려는 것은 당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겠다는 의도다. 동시에 앞으로 출마할 당원들과 박 전 대표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표를 얻겠다는 선거 전략이기도 하다.

하지만 선관위는 이런 미래한국당의 질의에 대해 선뜻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 개인(박 전 대표)을 상징하는 이름을 공당의 명칭으로 쓰는 게 적절한지 ^박 전 대표가 다음 대선의 잠재적 예비후보인 만큼 이런 당명 사용이 사전선거운동은 아닌지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친박연대’를 당명으로 허용할지 말지는 까다로운 문제”라고 말했다. 미래한국당 관계자는 “선관위의 유권해석이 나올 때까지 가칭으로라도 친박연대란 이름을 쓰겠다”고 말했다.

같은 이유로 한나라당을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고려 중인 친박 인사들의 연대 전략도 선관위의 판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무소속 출마 의사를 밝힌 김무성(부산 남을) 의원은 17일 친박 인사 회동에서 “무소속 출마자들끼리 지원유세는 안 되지만 포스터에 ‘친박연대’ 등의 문구를 표기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박근혜 마케팅’을 제안한 것이다.

하지만 선관위 관계자는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 무소속 출마자들이 포스터에 ‘무소속 연대’라는 문구를 쓰려다 제지된 일이 있었다”며 무소속 후보가 포스터에 다른 무소속 후보와 같은 문양·문구를 쓰는 것은 타인에 대한 선거운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청원·홍사덕 오늘 입당=친박 인사인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와 홍사덕 전 의원이 19일 미래한국당에 입당한 뒤 지역구 출마의사를 밝힐 예정이다. 이 당에는 이규택(경기 여주-이천) 의원이 이미 입당해 있는 상태다. 이 밖에 이강두(경남 산청-함양-거창), 엄호성(부산 사하 갑) 의원과 한나라당 원외 당협위원장 10여 명도 미래한국당 입당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