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각국 동반호황 누리는데…한국만 '낙오자 신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태국.말레이시아.필리핀 등이 1997~98년 외환위기 이후 최대 성장을 기록하는 등 아시아 경제가 동반 호황을 맞고 있다.

중국이 고성장을 지속하고 일본마저 경기회복의 기지개를 켜고 있는 가운데 유독 한국만 아시아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아시아 전역이 호황=지난해 태국 경제는 조류독감 피해에도 불구하고 97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4분기에 7.8% 성장한 데 힘입어 연간으론 6.7% 증가했다. 95년(9.2%) 이래 9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탁신 시나왓 태국 총리는 "수출과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급증하고 있고, 내수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 올해는 성장률이 8%를 넘을 수 있다"고 말했다. 크레디리요네(CLSA) 증권은 10일 "올해 태국의 투자가 21% 증가할 것"이라며 성장 전망치를 8.1%에서 8.4%로 상향 조정했다.

말레이시아 경제 역시 지난해 5.2% 성장해 아시아의 성장세를 이끌었다. 세계적으로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지난해 12월에만 수출이 36% 늘었다. 6.4%의 성장을 기록한 4분기 제조업 생산은 12%, 서비스 부분은 4.5% 각각 늘었다.

대만도 지난해 3.24%의 성장률로 한국을 앞질렀다. 연간 1.1% 성장으로 한국에 유일하게 뒤진 싱가포르도 지난해 4분기에는 4.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사스 파동으로 주춤했던 경제가 강한 회복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다.

이 같은 아시아 경제의 동반호황은 중국 경제의 기록적인 성장과 일본.미국 등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힘입은 것이다. 특히 중국은 지난달 한달 동안 수입이 대폭 늘어나 78억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하는 등 주변국 수출신장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일본 경제도 지난해 4분기 6.4%(연율) 성장률을 보이며 13년 만의 최고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회복세가 뚜렷하다. 지난 1월에는 소매판매가 4.5% 증가하는 등 지난 10년간 꽁꽁 얼어붙었던 일본인의 소비도 증가추세로 돌아섰다.

◇한국만 처져=국제통화기금(IMF)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2.7~2.9%대의 성장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소비와 투자지표는 올해도 뒷걸음질치고 있어 경기회복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난 1월 도소매 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5% 줄었고 소비동향과 관계 있는 국내 서비스업 생산도 1.7% 줄었다. 국내 설비투자도 지난해 4월부터 연속 마이너스다.

미국 투자회사 매튜스 자산운용의 마크 헤들리 사장은 최근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을 통해 "서울의 분위기는 완전히 얼어붙었다"며 "만나는 이마다 비관적인 전망을 쏟아냈다"고 전했다.

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