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한·중 노선 테러대비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이 사건은 누얼 바이커리(努爾 白克力) 신장 자치구 주석이 9일 전국인민대표대회 토론장에서 불쑥 공개해 알려지게 됐다. 그는 “테러범들이 항공기를 공중 폭파하려 했다”며 단순한 액체 밀반입 해프닝이 아니라 테러 미수라고 사건의 성격을 단정했다.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중국 내 분리주의 세력이 주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중국 정부와 중국인들은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다. 베이징의 30대 시민은 “새로 지은 우루무치 국제공항의 안전 관리에 구멍이 생겼다”며 개탄했다.

‘열 포졸이 도둑 하나 못 잡는다’는 말이 있지만, 중국의 테러 대책에 허점이 드러난 것은 문제다. 그렇다고 한국 정부가 이번 사건을 중국 내부 문제로만 치부한다면 큰 오산이다. 한·중 노선은 중국을 드나드는 국외 항공 노선 중에서 가장 많은 여객기(매주 830편)가 뜨고 내린다. 매일 1만 명이 중국을 찾는다. 올림픽을 계기로 중국 정부에 치명타를 가하려는 테러 조직은 얼마든지 예상할 수 있다. 그들이 목적 달성을 위해 항공기 승객 등 불특정 다수를 희생양으로 삼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테러는 강 건너 불이 아니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중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테러 징후에 대한 신속한 정보 교환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비상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올림픽의 안전과 자국민 보호를 위해 중국에서 이미 활동 중인 사실도 배울 만하다.

장세정 베이징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