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17년 만에 ‘페놀 소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낙동강에서 유독 물질인 페놀이 검출돼 경북 구미시와 칠곡군 일부 지역에 수돗물 공급이 한때 중단됐다. 낙동강 페놀 오염은 1991년 두산전자 구미공장에서 발생한 페놀 유출 사건이후 두 번째다.

2일 한국수자원공사 구미권관리단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50분쯤 구미광역취수장(해평취수장)의 5㎞ 상류인 구미시 고아읍 낙동강 숭선대교 지점의 강물에서 페놀 0.01ppm이 검출됐다. 이후 오전 8시30분 0.04ppm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페놀의 음용수 허용 기준(0.005ppm)의 8배다. 취수 원수(原水)의 페놀 농도가 0.02ppm을 넘으면 정수를 하더라도 음용수 수질 기준을 맞추기 어려워 정수장마다 취수를 중단한다.

두 시간 여 뒤인 오전 10시40분쯤에는 해평취수장에서 취수가 중단됐다. 해평취수장은 낙동강 물을 끌어올려 하루 평균 생활용수 15만t과 공업용수 12만t을 생산, 구미시·칠곡군·김천시 일부에 공급하고 있다.

취수가 중단되면서 수돗물 공급량도 줄어 신평동·원평동 등 구미시와 칠곡군 일부 지역 5만여 가구에 수돗물 공급이 이날 오후 늦게까지 끊기기도 했다. 취수는 페놀 수치가 떨어진 오후 3시35분쯤 재개됐다.

구미시와 수자원공사 측은 “1일 김천시의 코오롱유화 공장에서 불이 나면서 이곳에 있던 페놀이 지류인 감천을 통해 낙동강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구미=홍권삼 기자

◇페놀=플라스틱의 일종인 페놀수지를 만들 때 사용된다. 페놀이 수돗물에 섞이면 염소 소독제와 반응해 악취가 심한 클로로페놀과 트리클로로페놀이 만들어진다. 트리클로로페놀은 발암 물질이다. 원액이 몸에 닿으면 피부가 벗겨진다. 호흡기를 통해 몸에 들어오면 복통·구토·마비 증세가 나타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