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해라 … 반성 반 해명 반 … 장관 후보자 추가사퇴 요구 거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후보자가 28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조용철 기자]

청와대는 28일 장관 후보자 인선 파문이 더 커지지 않도록 불 끄기에 열중했다.

그러면서 전날 장관 후보자 두 명이 사퇴한 만큼 수세 국면에서 벗어나길 기대하는 눈치다.

일단 고개부터 숙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첫 시작부터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하고 국민들께 걱정을 끼친 데 대해 송구스럽다”며 “인사 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들을 아프게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제도적으로 인사 검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명에도 적극 나섰다. 청와대 측은 “정권 교체 등으로 인한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한 측근은 “노무현 정부가 보유했던 2만5000명에 대한 인사 파일 자료가 정부기록보관소로 이전돼 접근이 여의치 않았다”며 “우리가 쓰려는 인사가 샅샅이 드러날 수 있어 ‘노무현 청와대’에 인사 검증을 맡길 수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날 청와대에선 “제한된 인력이 수작업으로만 하다 보니 체크가 안 된 부분이 있었다” “인재 풀이 너무 제한돼 있다” “역량을 초과하는 일을 하다 보니 실수나 허점도 있었다” “미국처럼 FBI에 맡겨 6개월씩 검증시키는 시스템을 장기적으론 갖추겠지만 우리 현실에선 ‘누구 누구를 쓰겠다’고 검증을 맡기는 게 어렵다”는 등 반성 반 해명 반의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그러나 야당의 추가 사퇴 요구에 대해선 “국회도 이제 새 정부의 순조로운 출범을 위해 뜻을 모아 달라는 말로 대신하겠다”는 완곡한 화법으로 거절했다.

이런 가운데 한나라당에선 청와대와 당 사이의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안들도 제기됐다.

경제 살리기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당·정·청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통령과 당 대표의 정례 회동도 추진키로 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처음으로 주재하는 다음달 3일 국무회의에 ‘노무현 정부’의 장관들 중 박명재 행정자치·변재진 보건복지·이규용 환경부 장관을 참석시키기로 했다. 장관 후보자 3명이 사퇴한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서다.

글=서승욱 기자 , 사진=조용철 기자

[J-HOT]

▶“낙천 땐 昌당 간다” 배짱 후보 골치

▶ "이상득 공천 확정" "대통령 형…" 큰소리 오가

▶공심위 주도하는 두명의 女 강 교수에 '벌벌'

▶ 각자 제 갈길 가는 'MB 실세 4인'

▶노 전대통령 "17대 대통령, 저의 기록 못 깨"

▶전두환 "20년만에 하는 말, 실수할까 몇 자 적어"

▶"영어도 못해…" 盧 폄하발언 외교관, 청와대행

▶이재오, 김경한 후보에 "78년생 아들이 재산 7억"

▶청와대 보고서에 '대통령님' 이라고 안하고…

ADVERTISEMENT
ADVERTISEMENT